일본 우익진영의 '새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이하 새역모)'측이 교과서 채택과정에서 현장 교사의 반대 움직임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교과서 채택제도 개정청원을 제출하는 등 치열한 로비를 벌이고 있다.
또 문부성이 문제의 역사왜곡 교과서 검정 최종승인을 위해 검정과정에 개입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파문이 일고 있다.
역사 왜곡 교과서 채택반대운동을 벌이고 있는 일본 시민단체인 '어린이와 교과서 전국네트 21'는 19일 "내년도 중학교 역사교과서 시장의 10% 확보를 목표중인 '새역모'측이 제출한 교과서 채택제도 개정청원은 지금까지 33개 도현(道縣) 등 광역단체와 222개 시구정촌(市區町村) 등 기초단체 의회에서 채택됐다"고 밝혔다.'새역모'측은 교과서 채택시 교사 등 학교현장의 의견을 반영시키고 있는 도쿄(東京)도 등 일부 지역의 교과서 채택절차를 변경해야 자신들이 편집한 교과서가 채택될 확률이 높아진다는 판단에 따라 그간 무더기로 청원을 제출해 왔다.
이에 앞서 이시하라 신타로(石原愼太郞) 도쿄도지사는 지난 12일 "교육위원이 유명무실한 상태에서 선생들의 평가에 의해 교과서가 채택돼선 안된다"고 주장, 우익교과서측을 측면지원하고 나섰다.
시민단체측은 "우익교과서측이 정치가에게 압력을 넣는 방법 등을 통해 지방의회와 지방교육위원회를 흔들고 있다"면서 "우리는 다른 시민단체측과 연대해 교과서채택 반대운동을 전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일본 문부성은 '새역모'의 역사교과서를 검정에 합격시켜주기 위해 교과서 핵심집필자의 제자를 검정관으로 임명, 검정과정에 자의적으로 개입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다와라 요시후미(俵義文) '어린이와 교과서 전국네트 21' 사무국장은 17일 "문제의 교과서 검정을 담당했던 인물은 2000년 4월 검정관에 취임한 무라세 신이치(村瀨信一)라는 사람이며, 그는 '새역모' 이사인 이토 다카시(伊藤隆)의 제자"라고 밝혔다.
다와라 국장은 "이 경우 문부성은 당연히 다른 조사관에게 검정을 맡겨야 했음에도 불구하고 '새역모' 측이 보냈다는 의혹이 짙은 무라세씨를 기용한 것은 검정합격을 염두에 뒀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문부성은 또 한국과 중국의 반발을 무마하기 위해 검정단계에서 언론플레이를통해 주변국이 만족할 만한 수정부분만 의도적으로 흘리게 했으며, 2차 수정으로 끝나게 돼 있는 검정절차를 재재수정 단계로 늘리면서까지 우익교과서의 편의를 봐줬던 것으로 드러났다.
외신종합=류승완기자 ryusw@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