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컨설턴트로 근무를 하면서 안타까운 게 있다. 우리 나라 업체가 외국 업체에 기술사용이나 수출문제로 국제소송에 휘말리면 자주 패한다.
얼마 전에도 미국 업체에 전자제품의 부품을 수출하던 한 회사가 미국 업체로부터 제품에 하자가 있어서 구매를 하지 못하겠다는 서신과 함께 먼저 줬던 물품 대금을 돌려 달라는 요구를 받았다고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제품에 문제가 있는 게 아니라 부품 값이 국제적으로 싸져서 다른 싼 제품을 사기 위해 일부러 클레임을 걸었던 것이었다.
결국 분쟁이 생겨 국제 재판으로 중재가 들어갔는데 거기서 문제가 생겼다. 미국업체는 거래 시작 후 분쟁이 있을 때까지 오고간 모든 서류와 한국 기업이 보내준 제품 홍보용 책자와 안내문, 견적서, 시제품과 심지어 회의 중 자기네가 기록했던 직원들의 메모까지 전부다 증거물로 가져왔다.
그러나 우리 업체는 미국 업체가 낸 서류의 절반도 안됐다. 미국 회사는 제품에 문제가 있다는 내용조차 서신으로 보내왔고 그 사본까지 다 제출했지만 한국은 그때마다 서신으로 증거를 남겨 응대하지 않고 전화로만 따지고 항의 했기 때문에 무엇하나 제대로 증거서류로 법정에 낼 게 없었다는 것이다. 뻔한 술수인데도 증거를 갖추지 않아 소송의 결과는 참패였다.
모든 법적인 문제는 정황증거보다 사실에 입각한 증거가 더 효과가 있다는 건 기본이다. 한국 기업들은 아직도 국제거래 때 서류를 제대로 챙기지 않는 관행이 있다. 우리 기업들이 국제 거래 때 아무리 하찮은 증거조차 일일이 챙기고 남겨놓아야만 억울한 일을 당하지 않는다는 것을 명심했으면 한다.
김창환(대구시 봉덕동)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