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사람들의 저축 목표 1위가 '자녀 교육비 마련'이라고 한다.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지난 73년 조사를 시작한 이래 저축 목표의 1위가 늘 '내 집 마련이나 더 좋은 집 마련'이었지만 지난해부터 2위로 밀려났다.
응답자의 20.1%를 차지한 '자녀 교육비 마련'이 '내 집 마련…'의 19.5%를 제쳤다. 주부들의 43%가 자녀 과외비 조달을 위해 부업을 하며, 사교육비 지출이 가계 소득의 20.7%나 된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그렇다면 '자녀 교육비'라는 건 무엇인가. 학교 등록금 비중도 가볍지는 않겠지만, 상당 부분이 자녀들을 학원에 보내고 과외를 시키는 데 드는 사교육비다. 한국은행은 국민들의 사교육비 부담이 연간 20조원에 이른다고 추정하고 있지만, 오죽하면 '자식 농사'를 그 해 투입한 돈과 학교에서 받은 점수를 비교해 결산하는 인터넷 사이트까지 생겼겠는가. 아무튼 우리는 이 같이 서글픈 현실에 놓여 있다.
7월부터 시행되는 '과외 신고제'는 지난해 4월 헌법재판소의 과외 금지 위헌 결정 이후 공백 상태였던 고액과외 제지를 위한 고육책이라 할 수 있다. 신고하지 않으면 과태료부터 벌금.금고형까지 3단계로 제재를 받게 된다. '과외 면허'세금으로 공교육을 지원할 근거도 마련된 셈이다.
하지만 이 제도는 '성실 신고'를 전제로 하고, 고액 과외소득자에 대한 세금 부과 방법도 불투명해 그 실효성이 의문시되고 있다. 이 신고제가 되레 과외비 인상의 빌미가 되지 않을지 우려하는 시각마저 없지 않다. 적지 않은 개인교습자들이 면세점 이상의 소득을 올리므로 오히려 신고를 외면하게 만들고, 고액 교습자들만 교묘히 법망을 빠져나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기업형 개인과외'도 단속할 인력이 없고, 적발이 어려운 점도 문제다. 이 때문에 이 제도는 상징적 효과만 있고, 개인과외를 더 늘어나게 하지 않을지도 걱정된다. 공교육의 내실화가 사교육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책임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그게 결코 쉬운 일이 아니라는 데 문제가 있다.
어쨌든 사교육비 부담 덜기는 반드시 이뤄져야 할 과제다. 정부는 이 신고제를 더욱 보완해 국민들을 '사교육의 덫'에서 헤어나게 할 수 있어야만 한다. 사회 구성원 모두도 교육의 목표를 어디에 둘 것인지 끊임없이 고민하고, 인식을 전환할 필요도 있다고 본다.
이태수 논설위원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