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지난 82년부터 정부시책으로 추진돼온 수돗물 불소화 사업이 국민 충치 예방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돼 이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라고 7일 밝혔다.
복지부는 지난해 서울대 치대 문혁수 교수팀에 의뢰, 수돗물 불소화 사업의 성과와 예상되는 문제점 등을 평가해본 결과 불소투입 지역 초.중등 학생의 충치 이환율이 비투입 지역 학생에 비해 30~35% 낮았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이어 수돗물에 대한 불소 투입이 각종 관절이상, 골절, 갑상선질환 등의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다는 의료계 일각의 우려도 이번 조사 결과 사실이 아닌것으로 확인됐다고 덧붙였다.
또 불소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반점치(치아표면이 거칠어지는 증상)도 불소투입 지역에서 전혀 나타나지 않아 현재의 불소투입량이 적정한 것으로 평가됐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지난 82년부터 작년까지 수돗물 불소화 사업을 통해 치과질환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체 기회 비용을 28분의 1 내지 24분의 1로 절감했다고 본다"면서 "올해부터 오는 2010년까지 이 사업을 계속할 경우 기회비용 절감 효과는 43분의 1 내지 44분의 1로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국내에는 청주시 등 전국 38개 정수장에 불소투입기가 설치돼 있으며 올연말께는 불소투입 정수장이 48개로 늘어나 전인구의 15%인 720만명에게 '불소 수돗물'이 공급될 예정이다.
한편 서울대 연구팀의 이번 조사는 불소투입 지역인 청주시와 비투입 지역인 춘천.원주.충주시에서 지역별로 1천200명씩 무작위 추출된 초.중등학생 4천8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