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의약품 덤핑 판매(할인)와 '덤으로 얹어주기'(할증)를 일삼아온 제약회사들에 대해 약값 강제인하 조치가 내려졌다.
보건복지부는 작년 11~12월 전국 312개 의원과 30개 의약품 도매업소를 대상으로 의약품 실거래가를 조사, 할인 또는 할증 혐의가 드러난 118개 제약회사의 1천92개 의약품 가격을 평균 13.28%(0.01%∼78.77%) 인하했다고 2일 밝혔다.
이와 별도로 133개 회사는 실거래가 조사 과정에서 2천349개 의약품 가격을 평균 6.53%(0.01%∼62.94%) 자율 인하했다고 복지부는 덧붙였다.
약값이 강제 인하된 약품 중 동국제약의 '네오락' 캅셀은 캅셀당 146원에서 31원으로 무려 78.77%가 내려 가격 거품이 가장 심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밖에 아미닉주 250㎖(한올제약), 팔프린정(유영제약), 현대 아시클로버크림(현대약품) 등은 70% 이상, 고려 아시클로버크림(고려제약), 케토코나졸정(동광제약), 푸마르산케토티펜정(태준제약), 나리텍정(메디카코리아) 등이 60% 이상 떨어져 상위권을 형성했다.
일반인이 잘 아는 약품 중에는 △액티피드(삼일제약) 6.06% △젠탈(유한메디카)12.14% △낙센(종근당) 5.36% △제놀(상아제약) 13.04% △로피드 캅셀(제일약품) 13.39% 등이 포함됐다.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
강선우 '스쿨존 내로남불' 이어 '갑질 내로남불' 의혹에 우재준 "李대통령 어찌 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