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고부-역시 '서울공화국'

입력 2000-12-29 00:00:00

최근 우리나라 인구이동과 관련해서 가장 극명한 대비(對比)가 되는 지역은 영남과 호남이다. 지난해 6월에 발표된 '98년 인구이동집계결과'는 대구.부산.경남.경북 등 영남권만 전출(轉出)인구가 많고, 호남 인구가 28년만에 전입(轉入)초과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나 영남인들에게 조금은 충격으로 다가왔다. 사람이 살다보면 한두번 이사를 하는 것이 상례라고는 하나 떠나는 사람이 많다는 것은 그 지역의 미래에 대한 확신의 철회로도 비쳐져서 더욱 그랬다. 말하기 좋아하는 사람은 정권교체이후의 이런 현상을 두고 '대통령 고향'에 대한 의미를 실어 해석하는 경우도 더러 있었다.

올해 나온 '2000년 인구주택조사'는 역시 '서울공화국'의 재현이다. 단순하게 서울인구는 줄었지만 수도권 인구비중은 1%포인트나 상승하는 '서울로, 서울로'였다. 서울을 둘러싸고 있는 경기와 인천지역 인구가 늘어나 중심도시인구가 주변지역으로 옮겨가는 대도시권 광역화 현상이 진행중에 있는 증거로 볼수 있는 것이다. 전국 인구증가의 87.7%인 132만9천명이 경기에서 늘어난 것으로 수도권 신도시지역으로의 인구이동이 활발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가장 많이 불어난 곳은 경기 고양시로 최근 5년동안 24만6천여명이나 늘어 서울의 배후도시로 부상했다. 대구.경북지역은 달서구가 늘었고 구미시가 시승격후 처음으로 감소현상을 보였다. 구미의 경우 11월말 기준으로 33만명이어서 지난해보다 0.6%가 줄었다. 근본원인은 우리경제위기로 본다. 구미공단 입주업체들이 경영난으로 구조조정을 하고 있는데다 대기업들도 신규채용을 거의 하지 않아 인구가 증가할 요인이 없어졌다. 이런 현상은 내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업체들의 고용사정 호전은 기대할수 없기 때문이다.

전국에 사람이 살지않는 빈집이 무려 50만호가 넘는다는 집계도 충격이다. 미분양아파트가 즐비하고 농촌은 빈농가가 계속 늘어 폐허를 방불케한다. 전국의 빈집률이 95년 3.8%에서 4.4%로 높아진 것은 '일자리의 서울 집중화'로도 볼 수 있다. 서울인구 억제정책은 실효성이 없고 지방대학 육성책은 겉돌아 인구이동은 끝간데를 모르게 돼 있는 것 아닌가. 28일 확정된 경기 화성에 신도시 건설도 지방인구감소를 부채질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수도권인구집중은 더이상 방치해서는 안될 일이다. 일관성있는 정책추진은 어느곳에나 필요하다.

최종진 논설위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