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 총기사건 역공

입력 2000-12-15 15:03:00

한나라당은 이날 '차기 대권문건'에 대한 민주당의 진상규명 요구에는 최대한 언급을 삼간채 청와대 경비초소에서 발생한 '총기오발사건'의 의혹 부풀리기에 주력했다.

그러나 민주당이 이날 오후 '대권문건' 관련회의를 열어 이회창(李會昌) 총재가 문건을 보고 받았고, 이미 언론인 성향을 분류해 놓았다는 의혹을 제기하자 마지못해 "정치적 공세에 불과하다"고 일축하고 나섰다.

이날 한나라당은 '총기사고진상조사특위' 첫 회의를 열어 이번 총기사고가 대통령의 집무실 근처에서 발생한 중대한 사안인 만큼 경찰의 재수사, 국회 국정조사 등을 통해 청와대 '총성'의 진실을 가리고 책임자를 문책해야 한다고 공세를 폈다.특위 위원들은 청와대 경호실과 서울지구 국군통합병원을 방문, 경호실차장 등으로부터 사건개요에 대한 브리핑을 들었으나, 제보자 신원을 밝혀달라는 경호실측 요구에는 신변보호를 이유로 거절했다.

김원웅(金元雄) 특위위원장은 "이제 총기사고 지점이 청와대 외곽 경비초소가 아닌 경내로 드러나고 있다"면서 "당시 경호실과 경찰수뇌가 사건 은폐와 축소를 위해 구수회의를 가졌는지를 집중적으로 파헤쳐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사망자의 사망시간이 5월31일 오후 8시께임도 이튿날 오전으로 조작됐고 △사망자가 총격을 받아 바닥에 쓰러졌을 것으로 추정됨에도 검시소견에는 외부외상이 없다고 나왔으며 △당초 경찰조사에서 총기손질과정에서 사고가 났다고 했다가 서로 장난을 치다 벌어진 일이라고 말이 바뀐 경위 등 의혹을 제기했다장광근(張光根) 수석부대변인도 성명을 내고 "경찰은 당시 대책회의를 열지 않았다고 하는데 청와대 근접거리에서 벌어진 총격사망사건에 대해 회의를 하지 않았다면 직무유기가 아니냐"고 주장했다.

한나라당은 이와함께 총기사고 사망자의 아버지인 김종원씨의 기자회견을 주선, 사고 의문점을 주장할 기회를 마련하는 등 이번 사건의 '총구'를 청와대 경호실과 경찰의 은폐·조작 가능성에 겨누고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