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대통령 오슬로 구사 뭘까

입력 2000-12-09 15:05:00

노벨상 수상식 참석을 위해 8일 출국한 김대중 대통령이 출국인사에서 "귀국후 국민이 바라는 국정개혁을 단행하겠다"고 한 말은 '당정쇄신'이란 용어 대신 "국정개혁"이란 단어를 썼다는 점과 "국민이 바라는" 이라는 수식어가 동원됐다는 점에서 매우 이례적이다.

이를 놓고 여권에서 흘러나오고 있는 주된 해석은 김 대통령이 현 상황이 생각 이상으로 심각하다는 것과 따라서 국정개혁은 당과 정부, 청와대 등 국정 핵심부의 인물과 시스템의 총체적 쇄신이 될 것이라는 것이다.

현재 예상 가능한 김 대통령의 국정쇄신 방향은 우선 내각의 개편이다. 이와 관련해 당초에는 당과 내각 모두를 개편하되 내각의 물갈이는 소폭에 그칠 것으로 예상됐으나 이제는 경제팀을 포함한 중폭 이상의 개편론이 힘을 얻어가고 있다.

특히 경제팀의 경우 개각을 한지 얼마 안되는데다 4대 부문 개혁의 마무리를 위한 업무의 연속성을 위해서도 내년 2월까지는 유임이 불가피하다는 것이 청와대의 판단이었다. 그러나 경제불안이 가속화되고 현 경제팀에 대한 시장의 신뢰도 크케 떨어져 더 이상 끌고 갈 수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또다른 관심거리인 당직 개편과 관련, 교체론과 대안부재론이 팽팽히 맞서왔던 서영훈 대표의 거취는 교체론 쪽으로 가닥이 잡혀가고 있다. 이수성·이홍구 전 총리와 김중권 최고위원, 김원기 고문 등이 벌써부터 후임으로 거론되고 있다. 서 대표가 물러날 경우 당 4역의 전원 교체도 확실하다.

권노갑 최고위원의 2선 후퇴 여부도 관심거리다. 여권에서는 서 대표와 권 최고위원의 동반퇴진론이 제기되고 있으나 현재로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이 대체적인 관측이다. 그러나 권 최고위원의 2선 후퇴론이 여론의 지지를 얻고 있는데다 당의 일신된 모습을 보이기 위해서는 퇴진해야 한다는 주장도 여전히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이와 함께 당 운영시스템에도 큰 손질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소장파 의원들의 불만을 감안, 초·재선 의원들의 의사결정 참여 확대을 통한 소장·개혁파의 요구를 수용하는 방향으로 시스템 정비를 추진할 것이란 관측이다.

정경훈기자 jgh0316@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