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평화상 시상식에 불참키로 한 이유는.
▲시상식에 가려고 했으나 돌출사건이 터져 밖에 나가 있는 것보다 당사자인 내가 당에 남아 당의 화합과 단결을 위해 수습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생각했다.
-대통령에게 직접 불참의사를 전했나.
▲한광옥(韓光玉) 비서실장에게 얘기했다.
-정 최고위원의 '퇴진론'에 섭섭하지 않았나.
▲충정으로 본다. 인식의 차이도 있고 오해에서 빚어진 것이다. 오해가 해소되면 모든 것이 풀릴 것이다. 그러나 전혀 사실이 아닌 유언비어를 근거로 해 그런 주장을 한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
-대통령 면전에서 그런 얘기를 한 것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나.
▲이전에 정 위원이 얘기해 내용을 다 알고 있었다. 또 그 자리는 기탄없이 얘기하는 자리다. 섭섭할 게 없다. 다만 정치인은 공인으로서 행동해야 한다. 정 위원은 공작정치근절대책위원장이고 악성루머를 차단하고 근절시켜야 할 사람인데 그런식의 얘기를 일방적으로 한 것은 모순이다. 그리고 '2선후퇴론'이라는 말은 나오지 않았다. 정 위원은 시중에 이러저러한 루머가 떠돈다는 식으로 말한 것이다.-관계가 어색해진 것 아닌가.
▲어색할 것 없다. 정 위원과 나는 감정있는 사이가 아니고 가족과 같다. 친형제나 조카처럼 대해왔다. 전화통화를 했고 정동채(鄭東采) 의원을 통해 정 위원의 입장을 전해들었다. 있을 수 있는 일이라고 보고 더 잘하자는 뜻으로 받아들였다. 쓸데없는 일로 소모할 여유가 없다. 앞에 깔려있는 일이 많은데.
-당내에서 호남대통령론이 나오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기자들이 잘 알지 않나. 정치는 경험이 제일 중요하다. 원칙과 명분이 있어야한다. 그런 얘기를 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지금은 그런 얘기를 할 때가 아니다.
-이인제(李仁濟) 최고위원을 보호하는데 따른 불만이 이번 일의 원인 아닌가.
▲나는 누구와 거리를 두지 않는다. 다 식구고 동지다. 누구는 가깝고 누구는 멀리한 것이 아니다. 경선에서도 체험했겠지만 누구만을 도와주지는 않았다. 이번 일이 내부의 알력과 투쟁으로 비쳐지는 것은 불만이다.
-틈만 나면 한 위원과의 갈등설이 나오는데 근본적 관계개선이 필요하지 않나.
▲우리 세사람은 민주주의를 위해, 대통령을 만들기 위해 수난을 겪으면서 같은 길을 걸어온 동지이고 친형제같은 사람이다. 한 위원과 나는 동교동 1세대로서 형무소도 같이 갔고, 김옥두(金玉斗) 사무총장은 물고문도 같이 당했다. 개인과 가족을다 버리고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을 위해 봉사해온 혈맹동지들이다. 다만 경선때 오해가 있었지만 다 풀었다.
-세사람이 만나야 하는 것 아닌가.
▲나는 누구와도 만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