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21일 국회의장을 지낸 황낙주(黃珞周) 한나라당 상임고문을 수뢰혐의로 전격 소환, 검찰 주도의 전방위 사정이 시작된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특히 사정관계 장관회의가 개최된 날 공교롭게도 거물급 야당 정치인인 황 전 의원이 소환돼 향후 사정강도가 예사롭지 않을 것임을 짐작케 하고 있다.
검찰은 수뇌부에 대한 야당의 탄핵공세가 1개월 넘게 지속되고 한빛은행.동방금고 불법 대출 사건 등 대형 의혹사건 수사에 매달리면서 사정의 고삐를 다소 늦춘 게 사실이다.
그러나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이 '부정부패와의 마지막 결전'이라며 비리와의 전면전을 선포하고 수뇌부 탄핵위기를 넘기면서 검찰이 본연의 임무에 눈길을 돌릴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
검찰은 이미 오래전에 황 전 의원의 2억여원 수뢰혐의에 관한 결정적 증거를 포착한 뒤 정밀내사를 거쳐 이날 전격 소환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검찰이 범죄정보수집 부서와 특수부를 중심으로 상당수 전.현직 고위공직자 및 사회지도층 인사의 비리 혐의를 포착해 내.수사를 벌여왔다는 관측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특히 검찰 내부적으로 탄핵사태를 겪으면서 '성역없는 사정'만이 살길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돼 정치인 비리에 집중적인 메스가 가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검찰은 그러나 황 전 의원에게 이미 1개월전부터 소환을 통보, 이날 출석하게 된 것이라며 정부의 사정방침과 그의 소환에 아무런 연관이 없다고 강조했다.
야당 소속인 황 전 의원에 대한 소환조사가 일종의 표적수사로 받아들여져 야당의 탄핵공세에 대한 '분풀이 사정'이라는 오해를 살 수 있음을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한나라당에서는 벌써부터 표적사정 시비를 제기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검찰의 사정작업은 초반부터 벽에 부닥칠 공산이 커지고 있다.
한편 검찰은 황 전 의원이 고령에다 지병인 당뇨병 악화로 병원에 입원중인 점을 감안, 5시간여의 조사후 일단 귀가시키고 불구속기소하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