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현대건설을 독자생존 방식으로 처리하는 쪽으로 선회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동안 법정관리 가능성을 자주 언급해 왔던 정부가 13일부터 독자생존에 무게를 두는 발언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입장의 변화는 전혀 없다고 정부는 밝히고 있다.
종전과 다름없이 정부는 현대건설이 독자 생존하기를 강력히 희망하고 있으나 여의치 않으면 출자전환이나 법정관리를 선택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현대건설에 대한 정부 입장 바뀌었나
현대건설 처리에 관련한 정부쪽 발언이 이전보다 부드러워진게 사실이다. 이는 법정관리나 출자전환 등을 불사하겠다며 거세게 몰아붙였던 종전의 분위기와는 분명히 다르다.
진념 재정경제부장관은 13일 기자간담회에서 "현대건설은 100여개 해외사업장을 운영중이고 시공능력이 세계 최고수준"이라면서 "현대건설이라는 사업체는 어떤 형태로든 살아남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근영 금감위원장도 "채권단이 합의한다면 신규자금 지원도 검토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들 장관의 발언은 "현대건설은 원칙대로 처리한다", "법정관리도 불사한다","대우처리 경험을 갖고 있어 걱정할게 없다"는 기존의 강경한 입장보다 상당히 누그러진 것이다.
그러나 기본적 입장은 전혀 바뀌지 않았다는게 정부 설명이다.
재경부 관계자는 "법정관리보다는 출자전환이 바람직하고 출자전환보다는 자구노력을 통한 회생이 훨씬 낫다"면서 "이는 정부의 일관된 입장"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누그러진 이유는
무엇보다도 11.3부실기업 퇴출에 이은 대우자동차 부도 상황에서 현대건설 파산이 겹칠 경우 혼란이 증폭될 것으로 정부는 우려하고 있다.
실제로 대우차는 하청업체들의 부품공급 중단으로 공장을 세워놓고 있는가 하면 최근 대량실업에 따른 노사갈등이 폭발지경에 이르렀고 자금경색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현대건설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사실상 파산의 경로를 밟게 된다. 건설회사가 법정관리하에서 신규 수주할 가능성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현대건설은 모두 15조원에 이르는 계약물량을 중단해야 하는 자체문제점외에 경제전반에 큰 회오리를 몰고 온다.
현대건설은 현대산업개발.대림건설.LG건설 등 국내 굴지의 건설사와 하도급 업체에 지급보증을 해주고 있다. 따라서 현대건설이 무너지면 건설업 자체가 적지않은 타격을 입는다.
게다가 3천개에 이르는 하도급업체의 연쇄부도 가능성과 이에따른 시중 자금난악화도 우려되는데다 금융권은 5조2천억원 여신외에 해외건설 이해보증금 1조원을 추가로 부담해야 한다.
◇현대건설 독자생존 가능한가
현대건설이 출자전환 또는 법정관리에 들어가지 않으려면 시장이 납득할 수 있는 자구방안을 내놔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금융권은 여신 만기연장을 철회하게 되고 현대건설은 곧바로 출자전환이나 법정관리에 직면한다.
재경부 관계자는 "현대건설은 손에 잡히는 것, 즉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것을 내놔야 시장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면서 "이제 자구안은 언제 누구한테 무엇을 팔아 얼마만큼의 유동성을 확보한다는 구체적인 내용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른 관계자는 "현대건설이 연간 8천억원의 이익을 내고 있다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면서 "들어오는 돈과 나가는 돈의 차액, 즉 현금흐름을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현재 현대건설은 토지공사를 통해 서산농장을 매각한다는 계획이지만 계열사나 친족들의 지원문제는 난항을 겪고 있어 자구안을 통해 어느정도 시장신뢰를 얻을지 미지수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