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의원, 이권개입 의혹제기

입력 2000-11-03 12:28:00

대구시의회 일부 의원들이 시 추진 사업과 관련된 업체들을 상대로 조례 통과 등을 미끼로 이권을 요구하거나 관급공사에 부당한 방법으로 납품 압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이 잇따라 제기되고 있다.

모의원은 지난 7월 대구시와 시의회간에 입주업체 선정을 두고 논란을 빚었던 성서 3차단지 2단계 첨단공단 입주 예정업체를 찾아가 '편의를 봐 주겠다'며 공장 신축을 맡게 해 줄 것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업체 간부는 "시의회의 조례안 부결로 입주 확정이 미뤄지던 시기에 이 의원이 직접 찾아와 자신이 운영하는 건설회사에 신축공사를 맡겨 달라고 요구했다"고 말했다.

또다른 의원은 지난달 14일 행정절차를 무시한채 자신의 업체와 납품 거래가 있던 수성구 하수종말처리장 공사장을 방문해 현장 관계자에게 시공상의 문제점을 지적, 공사 중단 사태를 빚었다.

현장 관계자는 "이 공사와 전혀 관계가 없는 상임위원회 소속의 이 의원이 느닷없이 찾아와 부실시공 문제를 강력하게 제기, 감리단에서 하루동안 공사중지명령을 내렸다"며 "결국 납품 압력을 행사한 것 아니냐"고 주장했다.

이밖에 다른 의원들도 북구 검단동 유통단지내 도축장 사업자 선정과 관련, 입찰 신청을 한 업체에 석연찮은 이유로 '특혜설'을 주장하거나 지하철본부에 외압을 행사해 납품 업체를 변경했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이에 대해 해당 의원들은 "순수한 의정 활동을 위해 몇몇 사업장을 찾아갔을 뿐이며 압력행사나 이권 개입과는 전혀 상관이 없는 일"이라며 "누군가 계획적으로 음해성 소문을 퍼뜨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시의회 주변에서는 삼성상용차 퇴출, 우방 부도 등으로 지역 경제가 고사 직전에 처한 상황에서 일부 시의원들의 '이권 챙기기'에만 몰두하는 비도덕적 행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높아고 있다.

이재협 ljh2000@imaeil.com

#

추문 끊이지 않는 대구시의회

대구시 의회 주변에는 항상 추문과 의혹이 꼬리를 물어 왔다.

그리고 몇몇 의원들의 불성실한 의정 활동이나 직분을 벗어난 꼴사나운 행태쯤은 더이상 '화제'조차 안되는 수준으로 발전(?)했을 정도다. 하지만 최근 불거진 '비리 의혹'들은 끊없는 추락의 길을 걷는 대구시의 현안사업과 직.간접적인 관련성을 맺고 있어 문제의 심각성을 더한다.

▲모 의원이 건설공사 수주 압력 의혹을 사고 있는 성서 3차단지 2단계 첨단 공단 조성사업은 대표적인 경우. 대구시는 지난 4월 성서단지 내에 전자장비나 반도체 부품업 등 첨단 업체를 유치키 위한 '기업유치촉진 조례안'을 의회에 상정했다. 여기에는 시가 재정 손실을 떠안으며 공단 분양가를 조성가의 30% 선인 30만원으로 책정할 정도로 절박한 내용이 담겨있다.

하지만 시의회는 입주 대상 12개 업체의 선정 과정상 의혹을 이유로 조례안을 부결시켰다. 여론에 떠밀려 별다른 이유없이 의회가 다시 조례안을 통과시킨 시점은 7월 13일. 결국 문제의 의원은 조례안이 의회에서 잠자는 기간을 이용, 입주 대상 업체를 찾아가 '입주 편의를 봐주겠다'며 공사 수주 압력을 행사한 셈이다. 따라서 '특혜 의혹'등을 거론하며 조례안을 반대했던 당시 산업교통위원회도 함께 '의심의 눈총'을 받을수 밖에 없는 대목이다.

▲관급공사를 둘러싼 이권 개입도 의원들의 고질적인 비리 행태중 하나.

하수종말처리장에 찾아가 공사 중단 명령을 요구한 의원은 관급공사 감사권을 지닌 건설환경위와는 소속이 다른 상임위 의원. 따라서 납품관계가 있었던 공사장을 방문해 시공상의 문제점을 지적한 것만으로도 비난을 사기에 충분하다. 일부에서 제기되는 '납품이 중단된 것에 대한 보복성 조치'라는 주장도 설득력을 가진다. 해당 의원은 "시공상 부실문제에 대해 다른 의원보다 전문지식이 있고 공사장의 문제사항에 대해 사전 정보를 입수해 방문했다"며 "직접 공사중지 명령을 내릴 수도 없으며 납품 문제와는 전혀 상관이 없다"고 해명했다.

도축업체인 ㅅ산업 이전을 둘러싼 추문도 맥을 같이한다. ㅅ산업의 이전 예정지인 검단동 유통단지내 도축시설은 시가 270억원을 들여 건립, 사용료를 받고 위탁 운영할 예정이다. 시 모 간부는 "지난달 사업자 모집을 했으나 축산물 수입개방으로 도축 업체들이 채산성이 악화, 입찰을 기피해 ㅅ산업만이 응모했으나 몇몇 시의원들이 이것을 두고 특혜론을 제기했다"며 "결국 딴목적으로 업체에 압력을 행사한 것 아니냐"고 밝혔다.

▲파렴치한 '행동'들도 잇따르고 있다.

자신과 관계가 있는 홍보물 업체의 물품을 구입하도록 공무원들에게 압력을 행사하거나. 시 산하 단체나 공무원을 상대로 접대성 골프를 강요하는 것을 비롯 다른 의원의 학력 문제를 시비삼아 금품을 요구한 의원의 행태들이 최근 의원들 사이에서 입방아에 오르내리고 있다.

시청 홈페이지에도 시의원 관련 추문들이 끊임없이 오르고 있다.

술에 만취한채 새벽에 아파트 주차장에서 행패를 부리거나 지하철본부에 압력을 행사해 영세 납품업체를 밀어내고 납품권을 따낸 비리설 등이다. 이에 대해 의회 안팎에서는 "의원들의 어긋난 행동들이 위험수위를 넘어서 가뜩이나 어려움에 직면한 지역 경제를 멍들게 하고 있다"고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재협 기자 ljh2000@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