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그룹 비상장·금융사 내부지분율 평균치 2배

입력 2000-10-28 14:37:00

10대 그룹 비상장·금융계열사의 내부지분율이 그룹 전체 계열사의 평균 내부지분율보다 최고 2배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공정거래위원회의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4대 그룹 비상장 계열사의 내부지분율(4월15일 현재)은 △현대 84.82% △삼성 80.12% △LG 54.94% △SK 88.62%로 나타났다.

이는 그룹 전체의 평균 내부지분율 △현대 43.2% △삼성 44.5% △LG 43.1% △SK 57.2%보다 최고 2배 정도 높은 것이다.

5-10대 그룹 비상장 계열사의 내부지분율은 △한진 97.68%(그룹 전체 43.4%) △롯데 29.22%(31.2%) △대우 43.10%(9.6%) △금호 99.78%(70.8%) △한화 92.24%(45.7%) △쌍용 58.06%(44.7%)이다.

특히 10대 그룹의 금융.보험계열사 38개중 21개의 내부지분율이 80%를 넘었으며 10개는 100%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지분율이 100%인 곳은 현대 4개(현대캐피탈, 현대선물, 현대기술투자, 현대생명보험), 삼성 2개(삼성벤처투자, 삼성선물)이며 LG선물, SK캐피탈, 한화파이낸스, 쌍용캐피탈 등 4개 그룹이 1개씩이다.

공정위 관계자는 "비상장.금융계열사의 경우 총수 1인이 계열사간 순환출자를 통해 과다한 지배력을 행사하는 후진적인 소유구조를 갖고 있다"며 "금융계열사는 그룹의 자금줄로 다른 계열사에 부당지원을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기업지배구조 개선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