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가활동에 대한 태도
우리 성인들의 하루 평균 여가시간은 2, 3시간이 27.8%로 가장 많았고 1, 2시간이 24.6%를 차지했다. 즐겨하는 스포츠로는 등산이 46.7%로 1위, 조깅 27.6%로 둘을 합할 경우 74.3%나 됐다. 헬스나 에어로빅은 15.9%, 낚시 13.2%였다. 축구와 수영, 볼링, 배드민턴, 테니스도 5%를 넘었다.
◇저축·보험에 대한 태도
적금·보험(43.3%), 일반 저축(38.8%)등 금융기관을 통한 목돈 마련방법이 80%를 넘었고 주식투자는 5.2%에 불과했다. 계를 통한 목돈마련파도 4.7%였다. 보험은 잘 활용할 경우 생활에 도움이 된다고 한 응답이 33.2%였고 매우 적합하다는 응답도 32.7%나 돼 긍정론이 65.9%를 차지한 반면 별 필요없다(17.2%)거나 무조건 손해(12.4%)라는 인식은 30%에 못미쳐 보험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다.
한달 평균 가구당 저축액은 50만원대가 14.6%로 가장 많았고 10만원 이하도 13.5%나 됐다. 50만원 이하 쪽이 이상 쪽보다 훨씬 응답률이 높았고 100만원 이상이라는 대답도 9.4%나 돼 부익부 빈익빈 현상의 심화추세를 반영했다.
◇교통수단
주택과 자동차의 선호도 비교에선 주택(63.3%)이 자동차(19.5%)를 훨씬 앞섰다. 주택 우선은 경북지역과 50대 이상 그리고 여자들의 비율이 높았고 상대적으로 화이트칼라와 고학력층 그리고 20, 30대는 차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교통수단으로는 승용차가 36.7%, 일반버스가 30.7%로 1, 2위를 다투었다.
◇청소년 문제
학교 주변의 폭력을 가장 심각한 현상(29.6%)으로 꼽았고 성개방과 성폭력을 그 다음(21.3%)문제라고 지적했다. 약물·환각제 사용(7.5%) 문제도 제기됐다.
비행·탈선 방지방법을 묻는 질문에는 '올바른 가치관 정립을 위한 교육 강화'가 과반수를 넘는 64.7%나 나왔고 전문 상담소 증설, 현장 단속 강화, 강력한 대응 등의 순이었으나 10% 안팎이었다.
◇교육 문제
학교 체벌에 대한 반응은 '어느 정도 필요하다'는 응답이 64.4%를 차지한 반면 '절대로 있을 수 없다'(2.8%)거나 '가능한 한 없어야 한다'(9.9%)는 응답은 10%를 겨우 넘었다. '반드시 필요하다'는 응답도 22.4%나 돼 체벌의 필요성에 공감했다.바람직한 성교육의 주체는 부모를 통한 가정교육(27.8%), 선생님을 통한 학교교육(26.5%), 사회단체 프로그램(21.6%)이 비슷하게 나타나 정착된 성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이동관기자 llddk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