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구조조정 부실판정 기준 통보,대구.경북기업 '파장 촉각'

입력 2000-10-04 12:11:00

정부가 60대 주채무계열 기업과 총 채무 500억원 이상의 대기업, 워크아웃 기업 등을 상대로 강도 높은 제2차 기업구조조정에 나설 방침이어서 외환위기 직후에 이어 또 한번 기업퇴출 회오리가 일 조짐이다.

대구.경북에선 6개 기업이 60대 재벌에 드는 데다 총 여신 500억원 이상 기업에도 상당수 지역업체가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적잖은 파장이 예상된다.

금융감독위원회는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중인 대기업, 새로운 자산건전성분류기준(FLC)에 따른 기업신용도가 '요주의'(7등급)이하인 대기업, 총 채무 500억원 이상인 기업 등을 대상으로 부실판정 가이드라인을 확정해 4일중 각 은행에 통보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각 은행은 지원-퇴출 여부를 심사해 회생가능성이 있는 기업에는 집중 지원하되 그렇지 못한 기업에는 대출금 회수 등의 정리방안을 적용해 법정관리 또는 퇴출시킬 계획이다.

현재 알려진 가이드라인으로는 ▲신용등급 '요주의' 이하 ▲이자보상배율이 '1'에 미달해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못내고 있는 기업 ▲이자를 1~3개월 못낸 곳 ▲최근 1∼2년간 적자를 보고 있는 기업 ▲수익성이 낮고 사업전망이 불투명한 기업 ▲단기차입금 비중이 높은 기업 ▲부채비율이 동종업계 평균비율 대비 150% 초과 기업 ▲총 여신이 자기자본의 두배 이상 기업 ▲총 운전자금 대출이 연간 매출액의 4분의 3을 초과하는 기업 ▲최근 3년간 총 자산대비결손율이 느는 기업 등이다.

다만 신용등급이 '요주의' 이하인 모든 기업체를 부실판정 대상으로 할 수는 없는 만큼 지급보증이나 회사채 등을 포함한 총 채무가 500억원 이상인 대기업으로 한정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금감원은 은행권이 이같은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자체 기준에 따라 월말까지 지원-퇴출 기업을 가린 뒤 퇴출대상기업은 11월부터 법정관리 등을 통해 정리절차를 밟고 지원대상 기업에 대해서는 과감한 지원이 이뤄지도록 할 방침이다.

대구.경북에서 60대 재벌에 드는 기업은 올해 5월말 현재 갑을(21대), 동국무역(24), 새한(29), 우방(38), 코리아데이타시스템스(51), 화성산업(57) 등이다. 또 총 채무 500억원 이상 기업은 건설업체 서너 곳, 섬유업체 두세 곳, 제조업체 대여섯 곳, 기타 등 모두 20여개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이들 업체 중 몇몇은 이번 가이드라인에 걸려 퇴출여부를 심사받을 가능성이 있다. 또 연말까지를 시한으로 진행계획인 워크아웃 기업에 대한 퇴출여부 심사작업에 따라 워크아웃 중인 갑을, 동국무역, 서한, 남선알미늄 등 네개 기업의 워크아웃 지속여부가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다.

은행권에서는 이들 대부분이 전국의 워크아웃 기업들을 상대로 한 심사에서 4~5등급이란 하위등급을 받고 있어 신용등급 하락이 불가피한 것으로 보고 있다.

李相勳기자 azzza@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