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축산물 과장광고 많다"

입력 2000-09-23 00:00:00

정부가 실업자 구제책으로 실시하고 있는 공공근로 사업이 일선 지방자치단체들의 운영미숙 등으로 상당수 공공근로 인력이 사무보조원으로 전락, 공공근로 본래의 취지를 무색케 하고 있다.

의성군의 경우 2000년 3단계(7월 10일~9월말) 공공근로 참여자는 △호적 전산화 49명 △자치단체 정보화 47명 △공공시설물 관리 37명 △지하수 현황조사 5명 △사회보장시설 도우미 2명 △군민기초생활보장제 조사 4명 △숲가꾸기 30명 △재활용품 선별 10명 등 모두 188명이다.

그러나 △호적 전산화 △자치단체 정보화 △공공시설물 관리에 참여하는 상당수 공공근로 인력은 자치단체 사무보조원으로 일하고 있어 주민들 사이에 위화감을 조성하는 등 공공근로 본래의 취지에 크게 어긋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공공시설물 관리의 경우 공공근로 참여자 37명중 남자는 6명에 그친 반면 여자는 무려 31명이나 돼 실질적으로는 사무보조원이나 다름 없다는 것이다.

주민 김모(35·여·의성군 봉양면)씨는 "군청이나 면사무소에 가면 공공근로에 참여한 상당수 인력이 수개월째 사무보조원으로 일한다"며 "이는 특정인들에 대한 특혜로 비춰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공공근로를 희망하는 주민들의 신청을 받아 배치하다 보니 일부는 행정보조업무를 맡게됐다.

李羲大기자 hdlee@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