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출산과 잇몸병

입력 2000-09-19 14:15:00

임신 중이나 출산 후에 치아나 잇몸이 나빠졌다는 여성들이 많다. 과연 임신·출산은 이렇듯 사람을 상하게 하는 것일까?

그러나 치과의들은 임신 자체가 치아나 잇몸을 병들게 하는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그러나 주의할 일. 임신 중에는 여성호르몬 에스트로겐이 증가, 잇몸의 혈관벽을 얇게 만드는데다, 입 안이 약간 산성으로 변하는 특성이 나타나는 것이다.

치석이나 치태가 있을 땐, 이런 상황이 쉽게 염증을 일으킨다. 때문에 임신 중이라도 양치질을 제대로 해 치석·치태가 끼이지 않도록 하면 치아나 잇몸이 상하진 않는다.

태아가 영양분을 뺏아 가 잇몸이 약해진다는 생각도 오해이다. 물론 임신 5~7주 쯤부터 태아에 이가 생기기 시작하므로, 이때는 칼슘·인·비타민 등을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이런 정황들을 종합하면 결론이 나온다. 임신으로 치아가 나빠졌다는 사람들이 적잖지만, 그것은 몸이 불편하고 피로한데다 입덧까지 심해지자 칫솔질 등 치아 관리를 소홀히 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임신 중 치료가 태아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걱정하는 경우도 있지만, 오히려 더 적극적 주기적으로 검진 받아 건강한 치아와 잇몸을 유지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