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왜 외채에 허덕여야 하는가" "누가 우리의 돈을 모두 가져가는가" 라틴아메리카 최대 외채국인 브라질에서 외채상환 중단운동이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다.
가톨릭교회가 주축이 돼 전개되고 있는 외채상환 중단운동은 대외신인도 하락을우려한 정부와 마찰을 빚으면서 갈등을 증폭시킬 것으로 보인다.
브라질 주교협의회(CNBB)가 주관하는 이 운동은 외채 원리금의 대폭 삭감과 오래된 외채의 상환중단, 국제통화기금(IMF)이 강요하는 초긴축정책의 철회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브라질 국민은 모두 빈민층으로 전락하고 말 것이라고 CNBB는 주장했다.
CNBB는 지난 4일부터 브라질 전역의 버스정류장과 교회, 학교 등에 약 5만개의투표함을 설치, 외채상환에 대한 의견과 해결방법 등을 묻고 있으나 응답자의 90%이상이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
브라질리아에서 투표했다는 한 공군 군속은 "우리 모두가 교도소에 갇혀있는 느낌"이라며 "우리는 현재 '엄청난 외채'의 교도소에 수감된 재소자와 다를 바 없다"고 말했다.
CNBB는 7일까지 이런 방식으로 여론을 수렴한 뒤 그 결과를 의회로 보내 미주대륙에서 가장 왜곡된 소득분배 구조를 지닌 것으로 알려진 브라질 정부의 경제정책설정에 주요 참고자료가 되도록 할 방침이다.
그러나 경제비평가들은 가톨릭교회가 외채문제에까지 개입해 상환중단 운동을벌이는 것에 대해 "지난 90년대의 초긴축정책과 자유시장체제로의 경제개혁을 통해이룩한 경제안정을 해칠 수도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더구나 투표함까지 동원해 외채상환 중단여부를 묻고 있는데 대해 페드로 말란브라질 재무장관은 "정말 넌센스"라며 "투표행위는 외채지불정지(디폴트)를 선언하는 효과 만큼의 손해를 브라질에 가져다 줄 것"이라고 경고했다.
지난 8월말 현재 브라질의 총외채는 2천350억달러로 중남미 국가중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공공분야의 외채는 지난해의 840억달러에 비해 무려 120억달러가 증가한 960억달러에 이르러 재정을 압박하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지난해 발생한 헤알화 평가절하 사태로 달러표시 외채에 대한 원리금 부담액은 평가절하 이전보다 30% 이상 늘어나 브라질 정부를 곤혹스럽게 만들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