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평화정착 기지 남북 외교협력 전기

입력 2000-09-05 14:21:00

유엔에서 남북관계의 진전을 지지하는 성명과 결의안이 채택되는 것은 갈등과 반목, 대립으로 얼룩졌던 55년 남북한 유엔 외교사에 종지부를 찍는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다.

남북한은 1945년 유엔 발족, 1948년 남.북한 별도 정부 수립이후 유엔 무대에서 끊임없이 대립해 왔으며, 지난 91년 탈냉전 분위기속에서 이뤄진 남북한 유엔 동시가입후에도 이같은 양상은 변하지 않았었다.

그러나 남북한은 지난 6월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한반도 화해와 평화정착을 지지하는 유엔밀레니엄정상회의 의장성명과 총회 결의안을 공동 추진하기로 사상 처음으로 합의, 그 결실을 거둠으로써 향후 국제무대에서 남북한 외교협력의 전기를 마련했다.

이정빈(李廷彬) 외교통상부 장관은 4일 기자간담회에서 "과거에는 남북한이 결의안때문에 많이 싸웠다"고 회고하면서 "이번에 남북한의 합의와 협력, 그리고 회원국들의 전폭적인 지지하에 성명과 결의안이 채택된다는 것은 역사적 의미를 담고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 75년 제30차 유엔 총회에서는 남북대화의 계속과 한반도 평화보장을 위한 협상 개시를 촉구하는 한국의 결의안과 유엔군사령부 해체, 주한미군 철수를 주장하는 북한의 결의안이 동시에 통과되는 기현상이 발생하기도 했었다.

이후 유엔에서는 한반도 문제의 '불(不)상정 불토의' 원칙이 세워지기도 했다.정부는 당초 정상회의 의장성명 정도만 추진하려 했으나 북한의 의지가 강한데다 유엔 결의안이 갖는 '남북화해의 상징성'을 감안, 결의안 채택을 위해 북한과 함께 외교노력을 경주한 것으로 전해졌다.

남북한은 또 의장성명과 결의안을 구체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유엔대표부끼리 긴밀하게 협력함으로써 해외공관간 교류의 가능성과 방향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