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경제계는 22일부터 도쿄에서 시작된 북.일국교교섭의 향방을 상당히 관심있게 지켜 보고 있다. 회담 결과 북.일간의 과거 보상문제가 타결돼 산업기반 정비가 필요한 북한으로 거액의 자금이 투입되면 이는 일본기업에 있어서 비즈니스 기회가 된다고 보기 때문이다.
일본 아사히(朝日)신문은 앞으로 일본인 납치의혹과 미사일개발문제에 대한 해결의 실마리가 열리면 남북화해무드와 함께 한국과 일본이 연결된 '북한 비즈니스'라는 경제교류는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23일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마루베니(丸紅)그룹은 남북정상회담이 열렸던 지난 6월 기획팀 직원들을 한국에 보내 '남북한간의 철강산업을 중심으로한 교류에 대한 현상과 전망'을 보고서로 제출토록 했다.
그 내용중에는 '자금이 없고 새로운 설비 도입이 불가능한 북한과 잉여설비의 부담과 구조조정이 필요한 한국의 현실이 합치되면 북한 각 지역으로 남측의 설비가 옮겨갈 것'이라는 전망도 있었다.
또한 보고서에는 북한의 지역개발과 관련, '정치적 안정을 계기로 일본을 포함한 환동해경제권 등의 개발계획이 일거에 현실감을 갖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국, 러시아 국경의 나진·선봉지구를 찾는 일본 기업관계자들의 방문도 늘어나고 있다. 1998년에는 겨우 10명이었으나 99년에는 100명, 올들어 6월까지 25개팀 70명이 방문했다. 향후 진출을 겨냥한 일본기업들의 치밀한 정보사냥인 셈이다.일본의 상사중에는 북한서 생산한 제품의 구입뿐 아니라 한국기업과의 공동투자를 도모하는 경우도 있으나 현실적으로 각 기업들은 북한 진출에 대해 아직은 주저하고 있는 상황으로 보인다.
외화부족으로 일본에 대한 무역대금을 지불하지 않고 있는 것이 주원인인데, 기업들은 '일본의 보상금이 들어가면 외화부족이 완화되고 미지불 대금 문제도 해결될 것'이라며 점차 긍정적인 방향으로 바뀌어가고 있다는 점에 우리 기업들도 주목해야 할 것 같다.
朴淳國 편집위원 tokyo@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