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비무장지대(DMZ) 구간 경의선 철로 복원 공사에 따른 지뢰제거 착수 시기가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이는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이 지난 14일 "추석(9월 12일)을 전후로 경의선 철도 기공식을 갖기로 남북한이 합의했다"고 밝힌 것으로 미뤄 경의선 착공 시기가 윤곽을 드러냈기 때문이다.
경의선 철도 복원 공사의 최대 장애 요인은 남측(문산 선유리~장단 12㎞) 및 북측 구간(장단~봉동 8㎞)에 매설된 대인.대전차 지뢰제거 문제다.
특히 남측 구간 7만3천여평(24만㎡) 일대에는 10만여발의 각종 지뢰가 묻혀 있는 것으로 군당국은 추정하고 있다.
지뢰 제거 작업에는 여러가지 복잡한 절차가 뒤따른다. 우선 어떤 종류의 지뢰가 어느 지역에 매설돼 있는지를 정확히 파악하는 일이 필요하다. 지뢰 위치만 파악되면 제거 작업 뿐 아니라 전체 공정 기일을 앞당길 수 있다.
군은 현재 지뢰매설도를 꼼꼼히 검토하면서 정확한 지점을 파악해 가고 있으나, 6.25전쟁 이후 매설된 지뢰는 매설도가 없기 때문에 헬기를 동원해 찾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다시 말해 매설도에 나타난 구역에서 지뢰를 완전히 제거한 후 이 지점에 헬기를 착륙시켜 지뢰제거 특수병력을 투입한다는 복안이다.
이와 함께 철로 복원 구간 인근에 진입도로를 개설해 작업을 진행할 계획이지만이 도로 개설시에도 먼저 지뢰제거 작업을 벌여야 한다.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군 당국은 현재 건설교통부와 통일부 등 관련부서를 비롯해 유엔군사령부와 사전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따라서 관련부서와의 협의에 가닥이 잡히는 이번주초 구체적인 지뢰 제거 작업 시기가 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