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들의 파업 상황이 악화되자 시민들 사이에선 "앞으로도 이런 일이 재발하지못하도록 근본적으로 제도를 바꾸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제도 전환 요구가 나오고, "의사들만 파업할 수 있는 게 아니라는 점을 인식시킬 수 있도록 의료소비자들이 단결해야 한다"는 응징 목소리까지 높아지고 있다.
> "집단 인질극"... 시민단체 분노
11일 매일신문사로 전화를 건 한 환자 보호자는 "고추.마늘 값은 조금만 올라가도 곧바로 수입해 가격을 내려 우리 농민들을 쥐어짜면서, 저렇게 방자한 파업
의사들은 왜 가만 두느냐"며 의사 수입 개방을 요구했다. 그는 "의료 공급이 저들에 의해 독점됨으로써 이같은 일이 발생할 여지를 진작부터 만들어 뒀던 것아니냐"며, 종전에는 독재정권이어서 그런 행동을 억제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그럴 힘이 없는 민주정권이 들어 선 만큼 제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만들지 않으면 안된다고 주장했다.
의료계 사정을 좀 안다는 한 독자는 "그동안 의사회를 법정 단체로 만들어 온갖정부 권한까지 위임함으로써 오늘날 같은 사태의 씨를 뿌렸다"며, 공정거래 위반 혐의가 이번에 뚜렷해진 만큼 이 단체를 불법화해 강제 해체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다른 한 시민은 "의사만 파업할 수 있는게 아니라는 점을 가르쳐야 한다"고주장했다. 이에따라 전기 공급업무를 맡고 있는 사람들은 그 나름대로 단결해파업 의사에 대한 전기 공급을 끊고, 수도물 공급 종사자들 역시 뭉쳐 파업 의사에겐 물 공급을 끊어야 의사들이 자신들의 업무 역시 공공성이 있다는 기본적 사실이나마 깨달을 수 있을 것 아니냐고 말했다. 그는 의사들이 사회적으로의무도 지고 있음을 망각하고 있다고 한탄했다.
의성군의 농민이라는 한 시민 역시 "이제 농부들도 힘을 합쳐 우리에게 적대적인 사람들에겐 쌀과 식료품을 팔지 말아야 하겠다"고 분개해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