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적미적 현대에 '최후통첩'

입력 2000-08-05 14:14:00

정부가 현대에 제시한 ①실효성있는 자구계획과 핵심기업 조기 계열분리 ②문제경영인 퇴진 ③지배구조 개선 등 3개항의 요구조건이 보다 명료화된 모습을 드러냈다.

금융감독위원회 고위관계자는 4일 현대사태 해결을 위한 정부의 3개항 요구조건을 놓고 해석이 분분하자 각 요구조건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명확히했다.

따라서 현대가 내주초 발표할 자구책에 이같은 내용이 포함되지않을 경우 정부.채권단에 의해 거부될 것으로 보인다.

금감위는 이같은 요구조건을 현대가 거부할 경우 현대건설에 대한 자금지원을 중단,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이나 법정관리에 넣겠다는 결의를 다지고 있다. 특단의 대책을 쓰지않고는 현대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이 정부의 시각이다.

◇실효성있는 자구계획과 핵심기업 조기 계열분리=정부는 현대사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서는 현대건설의 자금난이 완전히 해소돼야하며 이를 위해 정주영 전 명예회장이나 정몽헌 전 회장이 보유한 자동차.전자.상선 주식 등을 매각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정주영씨 보유 자동차 지분중 계열분리요건 충족을 위한 6.1% 지분 정리는 반드시 매각의 형태로 이뤄져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 지분을 매각할 경우 주가변동에따른 가변성은 있으나 약 3천억∼6천억원의 현금확보가 가능하며 이는 건설의 악성부채(단기부채) 해결에 상당한 도움이 된다는것이다.

정부는 이밖에 정주영씨가 보유한 전자.상선지분 등 돈되는 자산을 매각해 이번기회에 건설의 유동성문제를 확실히 해결하라고 압박했다.

이렇게 될 경우 현대의 계열분리가 촉진되고 형제간 재산다툼도 미연에 방지, 대외신인도 제고에 긍정적인 작용을 하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계열분리의 경우 자동차는 물론 중공업, 전자, 금융계열사의 계열분리 일정을 대폭 앞당겨 구체적으로 제시할 것을 요구했다.

◇문제경영인 퇴진=정부는 정주영씨를 비롯한 3부자의 퇴진은 과거에 요구한 바없으며 현재도 마찬가지라는 입장이다. 이는 스스로 시장에 약속한만큼 지키든 안지키든 3부자가 알아서 할 일이라는 것이다.

분명한 것은 문제경영진의 퇴진이다. 금감위 고위관계자는 이익치 현대증권회장과 김윤규 현대건설 사장, 김재수 구조조정본부장을 지목했다.

이들은 현대의 대외신인도 실추나 현대건설 부실, 지지부진한 구조조정에 직접적인 책임이 있는 만큼 이번 기회에 반드시 정리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따라서 이번만큼은 현대가 이들을 감싸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지배구조 개선=이 부분은 비교적 현대가 마음만 먹는다면 받아들이기 쉬운 부분이다. 오너 일가가 적은 지분을 갖고 계열사 경영을 좌지우지하지 말고 사외이사제도와 감사제도의 실효성을 높여 투명성을 제고하라는 요구다.

금감위 관계자는 사외이사와 감사를 오너의 영향권에 있는 인사로 선임해 거수기로 만들지 말고 기업경영을 견제할 수 있는 독립적인 인사로 선임해야한다고 주문했다.

불과 5% 미만의 지분으로 오너 일가가 계열사 경영이나 인사를 좌지우지하는 행태도 이번 기회에 반드시 바로 잡아야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