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쪽…, 백지화…, 문화재발굴 등 10년 동안 엎치락 뒤치락한 경주경마장건설 문제를 두고 경주 시민들이 장외 투쟁에 나서는 등 감정이 폭발했다.
20일 궐기대회에서 야당인 김일윤 국회의원과 여당소속 이원식 경주시장이 나란히 시민대표 뒤를 이어 삭발하고 힘을 합쳐 투쟁할 것을 결의했다.
1천372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98년 개장 목표로 경주시 손곡동 일원 29만여평에 건설키로 한 경주경마장은 그동안 정치인들의 말장난에 시민들만 우롱당한 꼴이 돼버렸다.
용지보상 등 이미 투자한 비용만도 300억원. 사업중단시 훼손된 산림복구비 80억원 등 국고손실이 엄청나다.
경주경마장은 지난 91년 6공정부가 타당성 조사후 92년 2월 김영삼 정부가 늦어도 98년 상반기 개장 목표로 공약한 국책사업이다. 한국마사회는 부산을 포함 여러지역을 대상으로 타당성 조사 끝에 경주를 최적지로 꼽았다.
경주경마장은 당시 김영삼 대통령후보가 경주역광장에서 내건 대선공약이지만 문민정부 핵심그룹인 부산지역 의원들에 의해 부산으로 급선회하는 우여곡절을 겪기도 했다.
당시 경북도민들과 경주시민들이 거세게 항의, 지역감정 대결로 비화 양상을 띠면서 국회에서 공론화됐다. 다급해진 청와대는 "공약대로 실천하라"는 지시를 내렸고 논란 끝에 경마장 경주 유치 재확인으로 일단락됐다.
경마장은 수용인원 1만명으로 연간 500~700억원의 지방세수 효과를 가져오고 이중 30%가 시세(市稅)로 들어올 것이 예상된다. 경주는 고속철이 개통될 경우 서울과 1시간10분대, 대구·부산과는 20분대 거리여서 침체된 국내 관광경기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경주시로서는 사활을 걸고 매달릴 수 밖에 없다.
문제가 꼬이기 시작한 것은 98년 7월 국민의 정부 출범후 기획예산처가 경주경마장에 대한 투자를 중단하고 부지의 타용도 전환을 문광부에 통보한데다 그해 9월 김대중대통령이 경남도청을 순시하면서 경남 부산쪽 유치를 언급한 이후부터다.경주경마장 부지에는 잔여부지 1만7천평의 발굴허가가 중단된 상태며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발굴한 2만1천평에 대한 유적 보존여부가 결정되지 않은 상태인 등 넘어야할 고비가 많다. 경주시에서는 유적지를 인근으로 그대로 이전, 보존하는 방안도 제시하고 있다.
김일윤 국회의원은 "정부의 정책에 더 이상 참을 수 없는 배신감을 느낀다"며 조속한 건설을 촉구했다.
경주·朴埈賢기자 jhpark@imaeil.com
▨경주경마장건설 추진 경과
△91년 1:경주경마장타당성조사
△92년.2:경주시천북물천·손곡일원 경마장건설예정지확정
△94년.6:경마장건설사업 시행허가(문화관광부)
△95.5:용지 및 지장물 보상시행
△95.6:경마장진입도로 용지보상착수
△95.8:경마장건설에 따른 도시계획시설변경 결정
△95.8:문화재시굴조사(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96.6:교통영향평가(건설교통부)
△96.8:환경영향평가공청회
△96.11:문화재발굴조사착수
△98.5:C지구잔여분 1만7천528평 문화재청발굴허가 유보
△98.7:기획예산처 경마장부지 타용도전환지시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