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 플레이 지도부 못마땅

입력 2000-07-19 15:15:00

여야의 초선의원들이 18일 상대당에 대한 '공격수' 거부 및 조속한 국회 정상화를 촉구하고 나선데 대해 여야 지도부는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민주당측은 "합리적인 면이 있다면 수용할 것"이라며 비교적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반면, 한나라당측은 "먼저 지도부와 상의했어야 할 문제"라며 불쾌감을 감추지 않았다.

이같은 여야의 입장차는 국회 정상화 문제에 대한 여야의 시각차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민주당 김옥두(金玉斗) 사무총장은 "국회는 정치인을 위해서가 아니라 국민들을 위해 반드시 정상화돼야 한다"면서 "(소장파들의 지적 가운데) 옳은 것이 있으면 국회운영에 반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소장파 의원들이 '공격수' 거부선언을 한 것과 관련해 "우리당은 공격수를 내세운 적이 없다"고 강조한 뒤 "다만 실천할 수 없는 사안에 대해 언론플레이를 하는 것은 당에 이롭지 않다"고 덧붙였다.

국회운영 사령탑을 맡고 있는 정균환(鄭均桓) 총무도 "소장파들의 충정을 이해한다"면서 "여야를 떠나 새로운 정치를 위한 몸부림이라는 점에서 원칙적으로 동의한다"고 말했다.

반면 한나라당 정창화(鄭昌和) 총무는 "젊은 의원들의 논리나 주장은 특별한 잘못이 없다"면서도 "그러나 이 문제는 각 당 지도부가 풀어야 하는 만큼 의원들도 각당 지도부에 먼저 얘기했어야 한다"며 절차상 문제를 제기했다.

특히 정 총무는 이날 오전 국회 운영위원장실을 찾은 안영근(安泳根) 의원에게"국회 정상화를 요구하고 본회의장에서 서로 삿대질을 하지 말자는 주장은 당연한 논리"라고 전제하고 "그러나 이런 좋은 뜻이 있으면 나에게 먼저 항의했어야 했다"며 '질책'했다.

당 고위 당직자는 "우리 당 나름대로 원내전략이 있는데 무조건 정상화하자고 주장하면 되겠느냐"면서 "이런 식으로 개별적인 의사를 표출하면 국회파행의 책임이 모두 한나라당에 있는 것으로 비쳐질 수 있다"며 불쾌감을 감추지 않았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