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문댐'의 부실은 설계에서부터 시공과정은 물론 감리와 감독의 부실 등이 총체적으로 결합된 결과였다.
지난 7월9일 운문댐 부실공사 현장조사를 다녀온 백승홍 의원이 14일 낸 현장조사보고서에 따르면 댐사무소에는 댐축조에 관련된 설계도서가 비치돼 있지 않아 조악한 필사본으로 만들어진 시방서로 공사를 시행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무엇보다 1천490억원을 들여 건설한지 7년밖에 안된 댐이 긴급 보수·보강이 필요한 'D급'으로 평가돼 사용제한 여부까지 판단해야 할 정도로 댐의 안정성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한국건설안전기술원이 실시한 코어존(심벽·점토층)에 대한 시추조사 결과 자갈과 모래층은 물론 사용해서는 안되는 풍화토와 풍화암 조각까지 섞여 있었다. 즉 이같은 코어존의 부실시공이 댐의 안정성을 직접적으로 위협하고 누수의 원인이 된 것이다.
운문댐과 같은 '사력댐'축조시에는 일반적으로 20% 미만의 자갈을 함유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시추조사를 한 200개의 시료중 71개에서 기준을 넘었고 최대자갈 함유량이 56%에 달했으며 기준치의 2배가 넘는 직경 15cm이상의 골재가 섞여있는 것도 확인됐다.
특히 댐축조시에는 간극수압계와 토압계, 층별침하계 등의 각종 계측기를 정한 위치에 매설, 댐축조 과정을 관찰하며 시공을 해야하지만 운문댐의 경우는 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누수량도 지난 98년7월 만수위시 하루 최대 2천100t으로 기준치보다 10배나 많았다. 그럼에도 운문댐관리단은 유출량이 증가하지 않고 일정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댐체 안전과는 무관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98년 4월29일 2천64t이던 누수량이 5월11일 2천832t으로 37%나 증가하기도 하는 등 댐안전성 측면에서 허용치를 상당히 초과했다. 누수량 측정장치도 97년 12월말에야 설치, 98년 2월부터 누수량을 측정할 수 있었으며 대부분의 누수가 댐체를 통과하는 것으로 확인됐다.감리 및 감독과정에서도 댐의 안정을 담보하는 주요 기준을 설정하지 않는 등 철저하지 못했다. 이는 발주청인 부산국토관리청이 댐시공 경험이 전무했던 인력을 투입, 감독한 때문으로 판단되고 있다.
물론 댐 축조 후 일정기간 내에는 담수를 하루 30cm정도의 수위로 제한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댐마루(정상부) 부분의 함몰사고가 난 98년 당시 하루 4m이상씩 급격하게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과다한 수압이 댐에 무리를 가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이는 용수전용댐이라 하더라도 대규모 댐의 경우 수위조절용 수문의 설치가 필요함을 말해주는 것이다. (수자원공사는 지난 5월 정밀안전진단 이후 수문설치 공사를 진행 중이다)
또 댐건설 과정에서 수몰지역 주민들의 민원때문에 공사가 중단되는 바람에 민원해결후 공기를 맞추기 위해 무리하게 공사를 추진했다는 지적도 있다.
徐明秀기자 diderot@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