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부턴 안방에서 세금을 납부하세요"
국세 전자납부가 지난 3일부터 13개 금융기관에서 시범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신용카드의 카드론을 이용하거나 인터넷, 자동응답전화(ARS), 자동입출금기(ATM) 이용 등 전자납부 방식으로 국세를 낼 수 있게 된 것. 국세청과 해당 은행 및 카드사들은 9월부터 이 제도를 전면적으로 시행할 예정이다.
▲ 이용방법
인터넷으로 세금을 내려면 거래은행이나 카드사의 홈페이지에 접속, 첫화면에서 '국세납부' 배너를 선택해 순서대로 화면에 나타나는 절차에 따르면 된다. 국세청의 홈페이지(www.nts.go.kr)를 이용, 링크된 각 은행과 카드사의 홈페이지로 들어가는 방법도 있다.
화면에 나타나는 대로 따라가면 되지만 개인신상 사항 등 입력항목이 많다. 입력할 때엔 주민등록번호나 사업자 등록번호, 특히 납부세액을 정확히 기록해야 한다.
은행을 통한 계좌이체는 납세자 본인 계좌잔고가 있어야 가능하다. 은행의 잔고가 부족할 경우 카드사로 들어가 개인의 신용도를 평가받은 뒤 대출범위를 확인하고 카드론에 의한 납부를 신청할 수도 있다. 카드론 조건은 각 회사별 또는 거래자의 신용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출 한도액은 일반개인 600만~1천만원, 가맹점 2천500만원 이내며 대출기간은 3~36개월이다. 이율은 10~18%이고 취급수수료는 1.5~2.5% 또는 건당 2만원 정도다.
은행계좌가 부족할 경우 일부는 은행잔고로, 나머지는 카드론 자금으로 납부할 수도 있다. 또 계좌잔고나 카드론 금액이 내야 할 세액에 모자라면 일부만 먼저 납부하고 여러 차례에 걸친 분납도 할 수 있다. 이 경우 납부기한 이후에 내는 세금에 대해서는 기한 이후 납부분에 대한 가산세가 붙는다.
▲ 영수증 교부
전자 납부에 따른 영수증도 온라인상에서 발급된다. 제도 도입 초기에는 납부 후 10일 이내에 납부사실을 서면으로도 통지한다. 이 통지를 받지 못하면 각 세무서로 문의하면 된다.
인터넷, ARS, ATM으로 국세를 납부 신청하는 경우 절차가 끝나면 '국세납부신청확인서'가 교부된다. 단 ATM 이용은 시행초기에는 일부 은행으로 제한돼 있으며 ATM으로는 계좌이체에 의한 납부만 가능하다.
▲ 주의점
전자납부 방법은 간편하지만 세액을 잘못 납부신청한 경우에는 은행이나 카드사에서 바로 정정하거나 반환받을 수 없다는 점을 사전에 알아야 한다. 이렇게 될 경우 각 세무서 징세과에 정정요청이나 환급요청을 해야 되돌려 받을 수 있다.
전자납부를 이용하면 납부기일이 촉박한 경우 접속신청이 폭주해 접속이 어려운 경우도 예상된다. 따라서 납부시한 하루이틀 전에 미리 신청하는게 좋다. 인터넷을 사용하기 어려우면 손쉽게 ARS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李大現기자 sky@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