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 희망지역 재정착 합의

입력 2000-07-04 00:00:00

박재규 통일장관은 4일 북한 김정일(金正日) 국방위원장의 서울 답방과 관련해 "김 위원장이 '고위급회담 한두번 (다른 사람을 먼저) 보내고 세번째쯤 내가 (서울에) 가겠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박 장관은 이날 오전 국회의원 연구단체인 '21세기 동북아평화포럼' 조찬토론회에서 '6·15남북공동선언의 의의와 향후과제'라는 제목의 강연을 통해 이같이 말하고 "우리가 평양방문을 준비하다 보니 2개월이 굉장히 짧았다고 판단, 지금부터 김 위원장 답방을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박 장관은 "고위급 회담이 이달에 (처음) 열린다"고 말해 남북 양측이 이미 이달중 고위급 회담을 개최하기로 합의했음을 확인했다.

이어 그는 김 대통령이 남북간 도로와 철도 연결의 이점을 설명하자 김 위원장은 "북에는 광산이 많으니 철도가 지나가는 곳에서 광물을 실어 남측 제련소에 보내고, 그곳에서 제련한 광물을 남측이 쓰고 나머지를 북에 보내주면 된다"고 말했다고전했다.

박 장관은 또 "김 대통령이 그동안 있었던 남북간 무력충돌과 간첩사건 등의 역사와 배경을 상세히 얘기하면서 '다시 전쟁이 일어나선 결코 민족에 도움이 안된다'고 강조한데 대해 저쪽(김 위원장)도 공감했으며, 전쟁이 다시 일어나면 민족이 공멸한다는 데 공감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김 위원장은 서해교전에 대해 "상부의 지시를 안받고 한 일"이라고 말했다고 박 장관은 전했다.

박 장관은 이산가족 문제와 관련, "8·15때 상호방문하고 나면 나머지 이산가족에 대해서도 8·15때와 같은 절차에 따라 생사확인과 상호방문을 거친 뒤 분위기가 성숙되면 재결합 절차를 밟기로 합의했다"며 "장기적으론 자유의사에 따라 남쪽에 있는 가족이 북에 가서 살거나 북쪽에 있는 가족이 남에 합류해 원하는 지역에 정착토록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박 장관은 강연후 기자들의 질문에 "면회소가 설치돼 이산가족 교류가 활발해지면 10년이나 20년쯤 후엔 상호 자유의사에 따라 정착이 가능할 것이라는 뜻"이라고 부연했다.

박 장관은 이밖에 △김 위원장이 합의서에 직접 서명하지 않으려고 해 김 대통령이 "이것을 갖고는 남한에 못 돌아간다"며 1시간 이상 설득했으며 △김 위원장이 서명을 한 뒤 '서명했으니 반드시 지키겠다'고 10번 이상 반복한 것으로 봐 지키려는 의지가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또 남북정상회담후 북측 태도 변화와 관련, 박 장관은 △서해교전이 일어났던 꽃게잡이 수역에 남북정상회담이후 북측의 꽃게잡이 배가 1척도 내려오지 않도록 북측 경비정이 북방한계선 1마일 위에서 자체 지도하고 있으며 △북측이 8·15범민족대회를 스스로 안하겠다면서, 하더라도 남측에서 참가하겠다는 사람은 받지 않겠다고 했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