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와 차별화 국민여론 등에 업기

입력 2000-06-26 00:00:00

'7월중 약사법 재개정'이라는 여야 영수합의에 대해 '의약분업 불참'을 내세우며 격앙된 분위기를 보이던 대한약사회가 '일단 참여'로 한발짝 물러선 배경은 무엇일까.

결론부터 말하면 의료계와의 차별화를 통해 국민여론을 얻자는 것이 이번 결정의 가장 큰 배경이라는게 주위의 일반적인 분석이다.

일단 정부 정책에 호응하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의약분업안에 반발, 폐업조치로 국민들에게 엄청난 불편을 끼친 의사협회와는 차별화된 이미지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조성될 것으로 기대되는 호의적인 국민여론을 배경으로 앞으로 진행될 약사법 재개정 과정에서 시민단체와 협력해 실리를 챙길 수 있을 것이라는 계산을 했음직하다.

약사회는 이날 대의원총회를 통해 '일단 의약분업에 참여하되 약사법 개악시 불참선언'이라는 다소 '누그러진' 대응 방침을 내놓았다. 약국 휴·폐업조치 등 국민건강을 볼모로 한 맞대응은 대다수 대의원들이 부정적 견해를 밝힘에 따라 아예 안건으로 거론되지도 않았다.

앞서 이날 새벽에 열린 상임이사·시도지부장 연석회의에서는 의약분업에 대한 모든 논의 중단과 의약분업 불참을 정한 터였다.

대의원총회는 초반 정부와 의사협회측을 집중 성토하면서 현 집행부 퇴진을 주장하는 등 격앙된 분위기 일색였지만 집행부측이 "대의명분이 약사회측에 있는 이상 앞으로의 방향결정을 집행부에 맡겨달라"고 설득하자 분위기가 반전됐다.

김희중 회장 등은 "영수회담의 결과는 정치적 돌발 사태일 뿐 집행부의 잘못으로 인한 것이 아니다"며 "약사법을 재개정한다 하더라도 이해당사자의 합의없는 개정이 가능하겠느냐"고 설득했다.

약사회 관계자는 "현재의 국면 타개를 위해서는 약사들이 힘을 모아야 하는데 집행부에 대한 비난이 오히려 냉철함을 갖게하는 계기가 됐다"며 "'일단 참여'는 밝혔지만 약사법이 분업정신을 훼손한채 개악될 경우 분업 전면불참에 돌입하겠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