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시설 현황

입력 2000-06-23 14:08:00

자신들의 주장 관철을 위해 집단 휴·폐업을 통해 환자진료 거부라는 있을 수 없는 행동을 하고 있는 의료인들에 대한 국민의 비난 여론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계속된 경제난으로 의약품도 제대로 갖추지 못하는 등 어려움이 많지만 자신의 밥그릇을 지키려고 죽어가는 생명을 보고도 외면하는 의사는 없을 것 같은 북한의 의료시설과 그 특성을 알아본다.

북한이 지난 1980년 제정한 '인민보건법' 제9조는 '국가는 모든 공민에게 완전한 무상치료의 혜택을 준다. 노동자 농민 병사 근로인테리를 비롯한 모든 국민은 무상으로 치료받을 권리를 가진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 북한은 이 법조문을 근거로 모든 주민들이 무상치료의 혜택을 받는, 세계에서 가장 우월한 보건제도를 갖춘 나라라고 선전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는 그렇지 못하다. 북한 당국은 사회보장비 명목으로 근로자들의 월급에서 1%씩 공제하고 있다. 또 직장에 다니는 사람이 없는 사람이 병원을 이용할 때는 약값 명목으로 치료비를 내고, 상급병원으로 이송되어 치료받는 경우에는 별도의 치료비를 부담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의 병원시설은 일반병원과 전문병원으로 구분된다. 일반병원으로는 특정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평양의 봉화진료소와 남산진료소가 있고 일반주민들을 치료하는 적십자종합병원, 제12인민병원, 평양의대부속병원, 운수종합병원 등이 있다. 또 헝가리의 지원으로 건설된 헝가리병원과 재일 조총련교포가 지은 김만유병원 등도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전문병원으로는 지난 남북정상회담기간 중 김대중 대통령의 부인 이희호 여사가 방문한 여성전문병원인 평양산원과 평양중앙결핵병원 등이 있다.

각 직할시와 도에는 대학병원과 중앙병원 각 1개, 시·군에는 인민병원이 1개 또는 2개, 리·노동자구(노동자들이 집단거주하는 행정단위)에는 인민병원 또는 진료소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지난 90년 현재 북한의 의료기관 수는 일반 및 전문병원 2천373개, 진료 및 구급소 5천600여개인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의료기관의 특징은 이용에 신분의 차등을 두고 있는 점. 실례로 평양의 봉화진료소는 김정일 노동당총비서 가족을 비롯한 노동당 정치국원, 노동당 중앙위 비서, 내각 부총리, 내각의 상과 그들의 가족 등이 치료받는 병원이고 남산진료소는 노동당 중앙위 부부장급, 내각 부상급 등의 간부들만이 이용하고 있다.

또 한가지는 우리의 병원들과는 달리 대부분 의료기관이 한방과 양방치료를 병행하고 있다는 점. 최근에는 당국이 각 병원에 한방치료의 비중을 70%이상 높이라고 요구하는 등 한방의 비중을 더욱 높여가고 있는데 이는 의약품 부족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탈북자들에 따르면 북한의 의약품 부족현상은 심각한 상황으로 지난 97년 귀순한 최근남(27·대구시 달서구 월성동)은 "의료기관 처방약의 40% 정도는 환자가 직접 장마당 등에서 구해야 할 정도"라고 말했다.

한편 북한의 신약개발은 화학연료를 이용하는 양약부문에서는 서구 선진국가들의 수준에 못미치지만 천연 약용식물을 사용한 치료제 개발수준은 더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宋回善기자 thesong@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