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국교정상화 협상 진전 등 대북관계개선을 위해 모리 요시로(森喜朗) 총리와 김정일 국방위원장간의 정상회담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외무성의 야마자키 류이치로(山崎隆一郞) 보도관(대변인)은 22일 기자회견에서 "김정일 총비서 스스로가 적극적으로 대외관계에 관여하고 있기 때문에 총비서와의 의사소통에 무엇이 가장 효과적인가를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모리 총리가 대북 수교협상 진전을 위한 양국 정상간의 직접 대화에 대해 적극적인 자세를 보임에 따라 일본 정부가 구체적인 검토에 착수할 것임을 시사하고 있어 주목된다.
모리 총리는 앞서 김대중 대통령과의 전화회담에서 "김 위원장에게 직접 생각을 전달토록 하는 방법이 좋을 것"이라는 조언을 들었다면서, 고노 요헤이(河野洋平) 외상과 노나카 히로무(野中廣務) 자민당 간사장에게 전달, 검토를 지시했음을 밝혔다.
아오키 미키오(靑木幹雄) 관방장관도 북-일 정상회담과 관련, 이날 정례회견에서 "(조일 정상간의) 직접대화가 가능해 남북한과 같은 모양이 된다면 가장 바람직한 일"이라며 기대감을 표명했다.
일본 정부 내에서는 남북정상회담이 한반도 긴장완화와 북한의 대외관계 개선을 위한 성과를 거둔데 이어 모리 총리가 직접 김정일 위원장과의 정상회담에 의욕을 보임에 따라 대북관계 개선을 기대하는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요미우리(讀賣)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와 여당은 오는 29일부터 이틀간 개최되는 한·미·일 3국간 대북정책 협의 등을 통해 대북 경제지원의 시기를 탐색할 방침이다.
일본은 남북정상회담과 미국의 일부 대북제재 해제 등의 흐름을 따라 쌀의 추가지원도 염두에 두고 대북 교섭을 진전시킨다는 구상을 갖고 있으며, 차기 협상을 오는 8월 개최하는 방향으로 북한과 일정을 협의할 방침이라고 이 신문은 전했다.북-일 수교 협상은 지난 4월 평양에서 약 7년반만에 재개됐으나 북한의 '선(先)수교' 주장과 일본인 납치의혹 등 현안 해결을 우선한 일본측의 입장이 맞서 진전을 보지 못한채 5월 하순 도쿄(東京)에서 2차 회담을 가질 예정이었으나 북한의 일방적 통보로 연기된 상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