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영남창구 전국구의원 활용

입력 2000-05-27 00:00:00

여권이 영남권 대책마련에 적잖은 신경을 쓰고 있다.민주당은 지난 4·13 총선 직후에는 한나라당에 몰표를 몰아준 영남권에 대해 섭섭함을 감추지 못하며 고개를 돌렸으나 최근들어 다시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영남권 지역구 당선자가 없는 민주당은 이 지역출신 전국구 당선자를 지역창구로 적극 활용하는 방안을 '영남대책'의 하나로 구사하고 있다. 김대중 대통령은 총선 직후 영남출신 전국구 당선자들과 오찬을 함께 하면서 지역창구로서의 역할을 당부하기도 했다. 서영훈 대표도 27일 이들과 오찬을 함께 할 계획이었으나 외국에 나가 있는 김운용 IOC부위원장 등 3, 4명이 참석하지 못하게 되자 서 대표는 오찬일정을 내주로 연기했다.

민주당의 전국구 당선자 가운데 영남출신은 김 부위원장을 비롯, 이만섭 고문, 박상희 중소기업중앙회장, 장태완 전 재향군인회장(이상 대구·경북) 김기재 전 행자부장관, 박인상 전 한국노총위원장, 유삼남 연수원장, 이미경 의원(이상 부산·경남) 등 8명이다.

이들 지역출신 전국구당선자들은 지난 4월말 한차례 모임을 갖고 "지난 선거가 극심한 지역선거가 됐지만 동서화합을 위해 계속 노력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지역출신 전국구 당선자들이 지역구의원을 대신해서 지역발전을 위해 노력할 것"을 다짐한 바 있다.

이들은 이날 서 대표와의 오찬에서도 "영남지역에서의 지역감정은 인사문제에서 비롯되고 있다"는 지역민심을 여과없이 전달하고 상대적으로 억울한 일이 없도록 당이 앞장서 줄 것을 건의할 예정이었다.

민주당이 이처럼 다시 영남권대책에 나서는 것은 지역구도를 깨뜨리지 않고서는 차기대선에서의 정권재창출이 어렵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이들 전국구 당선자들을 지역창구로 활용하는 방안에는 한계가 적지 않다. 이들 가운데 지역색채를 강하게 띠고 있는 인사로는 이 고문과 김 전 장관 등이 꼽히고 있는데 이들이 영남권을 대변하기는 역부족이기 때문이다. 26일 열린 확대간부회의에서 내달 1일로 예정된 봉화·울진선거구의 재검표결과에 기대감이 표출된 것도 이같은 맥락에서 비롯된 것이다.

여권이 총선후 더욱 소외된 영남지역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하면서 지역출신 인사들의 입각 가능성도 그만큼 더 높아지고 있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徐明秀기자 diderot@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