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종금 살리자" 모두가 나서는데… 대주주는 회생외면

입력 2000-05-26 12:01:00

지역경제 회생을 위해 영업정지된 영남종금을 어떤 형태로든 살려야 한다는 여론과 함께 각계 대책마련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그러나 영남종금 최대주주인 학교법인 영남학원과 경영에 관여해온 영남대, 영남종금 경영진 등은 정작 이같은 요구를 외면한 채 영업정지사태에 대한 책임회피 및 수수방관적인 자세를 보여, 지역민의 비난을 사고 있다.

대구시는 26일 지역금융협의회를 열고 긴급자금 400억원 지원, 보증기관의 지원확대 등을 주로 한 종합대책을 내놓았다.

대구은행, 대구경북지방중소기업청은 영남종금 거래기업들의 자금난 완화를 위해 이미 예금담보대출 및 특별자금지원에 나섰다.

대구상공회의소는 25일 청와대, 재정경제부 등 당국에 '영남종금 존속을 위한 건의'를 제출하고 공적 자금을 투입해 회생시켜줄 것을 요청했다. 또 독자생존이 불가능하다면 타 금융기관이나 지역연고 대기업에 인수될 수 있도록 해달라고 건의했다.

영남종금 공동관리인으로 내려온 예금보험공사 탁종대 팀장은 대주주인 영남학원이 자구계획서를 낼 경우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했으며, 서울소재 종금사들도 영남종금 인수를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각계 움직임과는 반대로 영남학원, 영남대, 영남종금 등 당사자들은 정작 나 몰라라 하며 따로 움직이고 있다.

영남학원 최재호 이사장은 25일 영남대의료원 개원기념식에서 "영남학원은 영남대, 영남대병원, 영남종금의 주인"이라는 발언만 되풀이한 채 영남종금의 회생방안에 대한 어떠한 대책도 내놓지 않았다. 특히 이날 발언은 영남종금 영업정지란 극한상황에서도 영남종금을 놓고 영남대와 파워게임에 치중한 게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다.

그동안 영남종금 경영에 깊숙이 관여해온 영남대 김상근 총장은 "지금으로선 뚜렷한 대책이 없다. 회생시키는 방안으로 가야 하겠지만 추진주체는 대학이 아닌 재단이 돼야 한다"며 책임을 미뤘다.

영남종금 경영진들은 영업정지조치가 내려지기 직전부터 회사에서 자취를 감춰 도덕적 해이라는 지적까지 제기됐다. 예금주들은 "아무리 직무집행이 정지됐다고는 하지만 경영진이 책임을 다해 해명해야 되는 것 아니냐"고 비판했다.

李相勳기자 azzza@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