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와 뗄 수 없는 것이 나무이지만 의외로 아는 것은 많지 않다. 나무 상식을 좀 넓혀보자.
◇고사목의 효능은=고사목은 폐기물일까. 아니다. 숲속의 고사목은 여러 동물의 서식처이자 부패한 다음 토양에 유기물을 공급하는 중요한 '자가시비'의 한 과정을 제공한다. 이때문에 독일의 바덴-뷔르템베르그 주에서는 경제림내의 고사목 비율을 현 5㎡/ha에서 10㎡/ha로 끌어올리려 하고 있다.
◇수액은 왜 생길까=고로쇠 나무와 거제수의 수액은 '골리수(骨理水)'라 해 뼈를 튼튼히 하고 신경통, 위장병, 치질 등에 효험이 있다고 전해진다. 수액은 낮과 밤의 기온차가 심한 경칩을 전후해 채취하는데 그 이유는 왜 일까. 수액은 나무줄기내의 압력변화에 기인한다. 밤이 되면 기온이 떨어져 나무가 수축하게 돼 나무뿌리는 땅 속의 수분을 흡수, 줄기안으로 보내려 하고 이에 따라 나무는 물을 빨아 줄기속을 채운다. 반면 낮에는 기온이 상승해 나무속의 수분과 공기는 팽창하는데 이때 수피에 상처를 내면 수액이 흘러 나오게 되는 것.
◇기후와 나무의 상관관계는=추운 지방의 나무는 대부분 잎이 바늘같이 뾰족한 침엽수들이며 수관의 형태가 원추형이다. 눈이 많이 내릴 경우 나뭇가지에 쌓이지 않도록 하는 전략. 반면 열대지방엔 원형의 수관을 가진 활엽수가 많다. 또 해발이 높으면 나무의 높이가 낮아지며 바람의 영향과 낮은 기온으로 관목류가 자라게 된다.
◇등산로를 가로막고 누운 나무는 소나무일까 전나무일까=나무의 뿌리는 직근, 측근, 세근으로 나뉜다. 소나무의 경우 직근이 지하수대까지 발달하며 전나무는 측근이 발달, 바위 위에서도 자라난다. 등산로를 막은 나무는 당연히 측근만 발달한 전나무.
◇나무는 몇 살까지, 얼마 높이로 자랄까=도토리가 나는 참나무류가 약 700살 정도, 소나무, 전나무는 600살 정도 사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비해 자작나무는 약 100년 정도면 노쇠해 죽는다. 이와는 달리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나무인 미국의 한 소나무류 나무는 4천년 이상 산 것으로 추정되고도 있다. 또 나무의 높이는 통상 전나무와 소나무가 40m이상, 상수리나무 40m 정도, 자작나무 30m 등으로 자란다. 경기도 용문사 은행나무는 60m를 넘어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나무다. -裵洪珞기자 bhr@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