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무사 당시 용도 추적군 당국이 97년 재미교포 여성 로비스트 린다 김(한국명 김귀옥·47)의 군 전력 증강사업 로비 여부를 조사할 당시 30억원을 입금했다 10억원이 빠져나간 은행계좌를 발견한 것으로 전해져 돈의 사용처에 대한 의문이 일고있다.
4일 군당국에 따르면 기무사는 97년 린다 김의 로비 혐의를 밝히기 위해 국내은행 계좌에 대한 추적을 벌인 결과, 그녀가 96년 거액의 달러를 들여와 원화로 환전, 30억원을 입금한 계좌를 발견했다는 것이다.
기무사는 당시 계좌에서 인출된 10억원의 용처를 추적, 서울 강남구 논현동 집의 구입·수리비로 사용된 것으로 파악해 상부에 보고했다는 것.
나머지 20억원은 그대로 계좌에 남아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기무사 고위관계자는 "그 당시 기무사가 금품수수 부분에 대해서는 내사를 하지 않았던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한편 문민정부 시절 백두사업(통신감청용 정찰기 도입사업) 실무팀이 납품업체로 선정된 미국 E-시스템사의 납품예정 장비에서 사업제안서(Proposal) 내용과 달라진 성능상 결함을 발견, 수차례 개선을 촉구했으나 E-시스템이 계속 묵살해 국방부에 백두사업 중단을 요청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또 국방부가 장비 도입시 실무부대의 의견을 무시하고 백두사업 장비 선정때는 린다 김을 로비스트로 내세운 E-시스템사의 장비를 선택한 것으로 알려져 의혹을 증폭시키고 있다.
이와 함께 E-시스템사는 린다 김외에도 백두사업의 본격추진을 지시한 이양호(李養鎬) 전 장관의 공사 동기생을 국내 에이전트로 내세워 백두사업 실무자를 상대로 로비를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