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7월 1일 농축협 통합을 골자로 한 신농협법 발효를 앞두고 통합 농협중앙회 초대회장에 정대근 현 농협중앙회장이 선출됐다.
언뜻 보기에 새로운 조직 출범을 위한 통합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된다고 할 수 있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곳곳에 갈등의 요소가 산재해 있다. 이날 통합 중앙회장 선출장이었던 농협중앙회 건물 주변에는 전국에서 모인 축협 직원 800여명이 도로를 점거한 채 통합중앙회 출범 중단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였다. 농축협 통합과 관련해 헌법에 위배될 소지가 있다는 내용으로 헌법소원을 낸 만큼 정부가 헌법재판소 결정을 지켜본 뒤 농축협 통합 문제를 매듭지어야 한다는 게 축협측의 주장.
회장 선출을 마친 통합 농협중앙회는 7월 1일 이전 농업경제, 신용사업 대표이사 이외에 축산경제 대표이사를 뽑아야 하지만 축협의 반발로 난관에 부딪혀 있다. 통합 중앙회에 반대해 온 전국농민회연맹, 민주노총, 참여연대, 녹색연합 등 상당수 농민 및 시민단체들을 설득시키는 일도 정부와 통합 중앙회가 해결해야 할 몫이다. '반개혁적 통합 농협법 철폐'를 위한 범국민대책위원회에 있는 단체만 41개에 이른다.
이들 단체는 "통합 농협법이 중앙회 비대화를 부르고 경제사업보다 금융사업에 치중해 농민 이익이 반영될 수 없다"며 정부에 전면 재검토를 요구하고 있다.
축협과 민간단체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정대근 통합 농협중앙회 초대회장은 협동조합 통합 일정을 차질없이 진행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정 회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협동조합의 유사중복기능을 통폐합하고 불필요한 고정자산을 매각, 수익금으로 회원조합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며 "통합작업에 참여하지 않는 축협에 대해 대화를 통해 설득하겠다"고 말했다. 중앙회 구조조정과 관련해서도 회원조합에 이익이 돌아갈 수 있는 방향으로 조직.인원을 정비하겠다고 했다.
헌법소원과 관련해 정 회장은 "이미 국회에서 법이 통과돼 통합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만큼 다른 변수가 생길 것으로 보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全桂完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