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총재회담을 하루 앞둔 23일 밤 늦게까지 실무회의를 열어 총재회담 공동발표문안을 다듬었으나 일부 조항의 표현문제를 놓고 이견을 보여 최종안을 마련하지 못했다.
민주당 김옥두(金玉斗) 사무총장과 남궁 진(南宮 鎭) 청와대 정무수석, 한나라당 하순봉(河舜鳳) 사무총장과 맹형규(孟亨奎) 총재비서실장은 이날 두차례의 4인실무접촉을 통해 공동발표문 채택을 위한 마라톤 회의를 가졌다.
이들은 오후 3시40분부터 2시간 남짓 회의를 가진 뒤 각기 양당 총재에게 논의내용을 보고했으며, 저녁 식사후 9시부터 다시 회동, 자정 가까이까지 자구손질작업을 벌였다.
맹형규 실장은 1차 접촉 후 "영수회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두 영수간 신뢰 구축과 대화.타협을 통한 정상적인 정당정치의 복원"이라며 남궁 수석에게 동의를 구했고, 남궁 수석은 "그렇게 하기로 100% 합의했다"고 화답, 2차 회의의 전망을 밝게했다.
하지만 2차 회의도중 맹 실장이 밖으로 나와 이 총재에게 40여분간 전화를 걸었고, 남궁 수석도 잠시 회의장을 벗어나 전화로 얘기하는 모습이 목격돼 표현문제를 놓고 막판 진통이 있음을 암시했다.
결국 양당 실무자들은 최종 발표문을 성안하지 못한 채 24일 오전 다시 만나 총재회담에 오를 발표문에 마지막 손질을 가하기로 하고 헤어졌다.
회담 후 남궁 수석은 "크게 어려운 부분은 없었으나 용어상 오해의 소지가 있는 대목이 있어 조율에 진통이 있었다"고 말했으며, 김옥두 총장은 "합의문에 올리면 반드시 지켜야 하기 때문에 신중을 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맹 실장은 "내일 총재회담의 내용을 담는 것은 공동발표문이 될 것이며 합의사항은 8, 9개 정도가 될 것"이라면서 "한 두가지 표현상 문제로 타결을 못봤다"고 전했다.
특히 이번 발표문에는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내용을 일일이 열거하기보다는 포괄적이고 선언적인 내용을 담아냄으로써 여야 총재간 '합의정신'에 무게를 실을 것으로 알려졌다.
양측은 우선 총선전 소원했던 여야 관계를 대화와 타협의 정상적인 관계로 복원하고 오는 6월로 예정된 남북정상회담의 성공개최를 위해 초당적 차원에서 협력한다는 내용을 발표문의 핵심화두로 정했다.
야당이 '인위적 정계개편을 하지 않는다'고 주장한 내용은 '총선민의를 존중한다'는 선에서 절충점을 모색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여야는 총재회담 직후 열리게 될 16대 국회 원구성 협상문제와 관련해서는 사안의 민감성을 감안, 발표문에는 넣지 않기로 했다.
또 총재회담의 정례화 문제와 관련해서는 발표문에 적시하지 않되 '필요시 수시로 만난다'는 수준에서 교감이 이뤄졌음을 총재대화록을 통해 공개하기로 의견접근을 본 것으로 알려졌다.
막판까지 표현문제를 놓고 줄다리기를 했던 것은 야당이 제기한 금권.관권선거 의혹과 선거사범 및 병역비리 의혹 수사문제, 대북 경협사업의 국회동의 도입 등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한나라당은 금권.관권선거 문제와 관련, 책임자 처벌과 사과를 합의문에 포함시킬 것을 강력히 주장했으나 민주당은 "금권.관권선거 여부를 공정하게 수사한다"는내용으로 하자고 맞섰다.
선거사범과 병역비리 수사문제의 경우에는 민주당이 "여야를 가리지 않고 사법적 판단이 공평하게 이뤄져야 한다"는 공정한 수사의지를 담겠다는 입장을 보였으나, 한나라당이 "병역비리 수사에 장관급 고위공직자도 포함시켜야 한다"고 맞서 절충점을 찾지 못했다는 후문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