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당총무 원구성 협상

입력 2000-04-24 00:00:00

민주당과 한나라당, 자민련 등은 여야 영수회담 다음날인 25일부터 3당간 총무접촉을 통해 16대 국회 전반기 원 구성을 위한 협상에 본격 나선다.

3당은 특히 국회의장단과 상임위원장 배분 문제 등을 놓고 벌써부터 치열한 힘겨루기를 벌이고 있다. 또 의석이 17석에 불과한 자민련의 경우 양당간의 틈새를 파고들어 원내 교섭단체 구성요건(20석 이상)을 하향 조정하는 데 주력하고 있어 협상이 복잡한 양상으로 치달을 전망이다.

○…민주당은 국회의장직과 관련, 헌정사상 야당 측 의원이 선출된 적이 없으며 특히 현 정국처럼 여소야대였던 지난 13대 국회에서도 여당 측에서 맡았다는 점을 부각시키며 양보할 수 없다고 버티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의장을 경선하는 문제에 대해서도 소극적이다.

상임위원장 배분과 관련해선 원칙대로 의석 비율에 따른다는 입장이다. 다만 16개 상임위 중 운영.법사.정무.정보.문광위 등 국정 운영에 중요한 7, 8개는 반드시 확보해야 한다는 논리다. 또한 3개 상설 특위 중 최소한 예결위만은 맡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나라당은 원내 제 1당의 위상을 재확인한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의장직은 원내 다수당인 자신들이 맡아야 하며 민주당이 이에 반대할 경우 표 대결도 적극 검토중이다. 경선을 하더라도 자민련 측이 민주당으로 기울지 않는 한 유리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표결을 앞두고 선거사범 수사 등이 가속화된다면 당 소속 의원들 중 일부가 이탈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고 대책을 논의중이다.

상임위원장직에 대해선 여당처럼 의석비율에 따라 배분하는 게 원칙이란 입장. 그러나 이번 원 구성이 2002년 대선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을 의식, 문광.법사.행자.정무위 등 4개 상임위만은 반드시 차지해야 한다는 전략이다.

○…자민련으로선 의장단이나 상임위원장 배분 문제보다 원내 교섭단체 구성이 최우선 과제이다. 개원 전까진 교섭단체 자격으로 총무회담에 참여할 수 있는 만큼 이를 통해 단체구성 요건을 15명으로 낮추는 데 주력키로 했다.

특히 민주당과 한나라당이 의장직 등을 놓고 첨예하게 맞서 있는 점을 최대한 활용, 자신들의 요구를 수용하는 쪽에 손을 들어주겠다는 등의 '캐스팅 보트' 전략을 세워놓고 있다.

가능하다면 부의장직은 물론 상임위원장직도 몇 석 차지하겠다는 게 목표다. 의석 비율로 보면 자민련은 상임위원장 한 명만 배분받을 수 있다.

徐奉大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