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수회담 여야입장

입력 2000-04-18 15:27:00

여야간의 영수회담 개최를 위한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김대중 대통령이 17일 대국민 담화를 통해 영수회담을 제의한 데 대해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가 원칙적으로 이를 수용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나선 것이다.

한나라당이 총선에서 제 1당을 고수, 정국운영에 자신감을 갖게 되면서 여당 측과의 대화쪽으로 무게를 두기 시작한데다 민주당 역시 오는 6월 남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초당적인 협력을 이끌어내는 게 시급하다는 인식을 갖게 되면서 가속도가 붙게 됐다.

그러나 민주당과 한나라당은 회담개최 문제를 둘러싸고 적지않은 입장차를 표출하고 있어 실제로 성사되기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우선 회담 시기에 대해 청와대와 민주당의 경우 남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있는 만큼 조기 개최를 주장하고 있는 반면 한나라당은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맞서고 있다. 준비접촉 과정을 통해 얻어낼 것은 충분히 얻어내야 한다는 판단이 깔려 있다.

이 총재가 이날 "일회용, 전시용 영수회담은 안된다"며 "국면 전환용은 적절치 않다"고 쐐기를 박은 것도 같은 맥락이다. 결국 회담개최 이면에 깔린 여권의 저의를 경계하고 있는 셈이다. 한나라당은 무엇보다 "인위적인 정계개편을 하지않겠다는 약속을 받아내겠다"고 벼르고 있다. 영수회담은 이를 겨냥한 명분 축적용이 될 수 있다는 의구심때문이다.

또한 검찰의 선거법 위반 수사과정에서 야당 측을 겨냥한 편파 수사가 이뤄져서는 안된다는 점도 다짐받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번 총선에서 드러난 금권.관권선거 문제를 집중 제기, 사과까지 요구하겠다는 계산이다.

물론 남북 정상회담과 관련해서도 야당 측과 충분한 협의를 해야 하며 특히, 회담개최 합의 과정에서 이뤄졌을 이면거래의 내용에 대해서도 설명이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와 함께 양 측이 팽팽히 맞서고 있는 국회의장단 선출 등 16대 원 구성 문제 등도 영수회담과 연계, 유리하게 이끌어 가겠다는 것이다.

반면 조기 개최론을 내건 여권은 의제를 남북 정상회담 개최를 위한 초당적인 협력 문제로 국한시켜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옥두 사무총장이 "남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전국민이 단합된 마음으로 김 대통령과 정부를 뒷받침해야 할 시기인 만큼 여야가 힘을 모으는 게 중요하다"고 말한 데서도 드러나 있다. 특히 선거법 위반 수사의 경우 법에 따라 엄정히 처리돼야 하며 여야간의 협상 대상이 아니라고 일축하고 있다.

여권은 또한 자민련 측과의 공조복원 문제를 의식, 3당 총재회담 가능성도 타진하고 있으나 한나라당의 강력한 반발에 부딪히고 있다.

徐奉大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