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대 송이 생산지인 울진에서 최근 발생한 산불로 올 가을 송이 채취는 물론 송이 포자를 태우는 등 송이생산 환경에도 악영향을 미쳐 50억원정도의 송이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특히 송이는 수령 30∼60년 이상된 소나무에서만 자생하기 때문에 타버린 소나무의 완전복구까지는 상당한 기간이 소요, 채취 농민들이 난감해 하고 있다.
지난 12일부터 3일간의 산불로 초토화된 북면 검성리 등 울진 북부 지역 350여ha의 임야 가운데 50% 정도인 170여ha가 송이밭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곳의 연간 송이 생산량은 울진지역 생산량의 2.5%인 1.6t규모로 1kg에 10만원씩 치더라도 연간소득이 1억6천만원에 달한다.
송이 채취농 임상승(45·울진군 북면)씨는 "산불 발생시 지표의 온도는 섭씨 370도 내외로 땅 속에 있는 소나무 균류 버섯 포자까지 모두 태워 죽이기 때문에 산불이 한번 지나가면 송이는 끝장"이라고 했다.
황재신(69·울진군 북면)씨도 "산촌 최고 소득원인 송이는 주로 30~60년 이상된 소나무로부터 탄수화물 등을 공급받아 자생하는 것으로 소나무를 다시 심고 산림을 복원하기까지는 최소 30년이 소요되는 만큼 채취 농민들의 생계가 막막하다"고 말했다.
따라서 30년간 생산이 불가능할 경우 이 지역 송이 농가는 모두 50억원에 이르는 피해를 입게된다.
黃利珠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