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한나라 黨정비 박차-한나라

입력 2000-04-17 00:00:00

16대 총선을 통해 원내 제1당의 위치를 재확인한 한나라당은 조기 전당대회를 통해 이회창 총재의 친정체제를 굳힌다는 생각으로 향후 정치일정을 추진하고 있다.그러나 총재경선에 나설 뜻을 비추고 있는 김덕룡 부총재와 강재섭 의원 등 비주류측 인사들은 조기 전당대회 개최에 부정적이다. 전당대회를 5월말에 하겠다는 것은 총선승리의 여세를 몰아 친정체제를 강화하겠다는 이 총재 측의 계산이 깔려 있다는 것이다. 경선에 나설 인사들이 준비할 시간도 줘야하는 것 아니냐고 주장하고 있지만 이 총재 측은 16대 국회가 개원하는 6월5일 이전인 5월말에 전당대회를 여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쪽으로 입장을 굳힌 것으로 알려졌다.

공천파동을 통해 부담스러운 비주류 중진들이 한꺼번에 정리된 마당에 "이제는 거칠 것이 없다"는 태도다. 이 총재 주변에서는 경선이 아니라 추대얘기까지 흘러나올 정도다. '결과가 뻔한' 경선을 해서 당력을 소모하기 보다는 이 총재를 재신임하고 당내 결속의 계기로 삼자는 얘기다.

그러나 비주류 측은 "이번 총선결과는 한나라당이나 이회창 총재에 대한 적극적인 지지가 아니라 김대중정권의 실정에 반대표를 던진 결과"라며 이 총재 측의 자신감에 제동을 걸고 있다. 비주류 측은 "이번 전당대회를 계기로 공천파동에서부터 확인된 이 총재의 독선적인 당 운영방식에 대한 제동장치가 분명히 마련돼야 한다"며 당내 공감대 형성에 나서고 있다.

전당대회까지는 전면적인 당직개편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사철 대변인이 낙선함에 따라 일부 당직개편은 불가피해졌지만 당 3역은 전당대회때까지 바꿀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비주류 측이 경선관리용 중립체제를 요구할 조짐을 보이고 있어 전당대회 직전 사무총장 등의 개편 가능성이 없지는 않지만 높아 보이지는 않는다.

이번 전당대회에서는 부총재직에 대해 경선을 실시할 지 여부도 관심사 중의 하나다. 이 총재가 그동안 여러차례 부총재직 경선을 공언해 왔지만 경선을 통해 선출된 부총재는 총재에게 호락호락하지 않다는 점 때문에 경선방식 대신 지명제를 택할 것으로 보는 시각이 적지 않다.

부총재직 경선을 도입할 경우 총재 경선에 나설 일부 인사들도 '수석 부총재'를 노리고 부총재 경선으로 방향을 선회할 가능성도 있다.

한편 이 총재는 이번 총선을 통해 원내에 진출한 이원창 특보와 윤여준 전여의도연구소장 등 측근들을 요직에 기용하는 동시에 비주류 측에 대해서는 국회직을 배려하는 선에서 당내 화합과 결속을 도모할 것으로 보인다.

徐明秀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