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총선 새로운 선택-중앙정부 '연결고리' 급선무

입력 2000-04-15 00:00:00

16대 총선에서의 한나라당 싹쓸이로 지역 정치권은 △야당 1당만의 반쪽짜리 정치 △여권과 지역을 잇는 채널 붕괴 △중진급의 대거 탈락으로 인한 정치적 구심점 부재 등 다양한 부작용에 직면하게 됐다.

이번 총선 결과 대구는 물론 경북까지 한나라당이 독식, 명맥을 유지해 오던 지역내 여당이 몰락함에 따라 청와대 요직이나 여당의 주요 당직자들처럼 적극적으로 지역 이익을 대변할 연결통로가 막혀버리는 역효과도 우려되고 있다.

이 때문에 예산확보 등 지역현안사업 해결과 정부와의 업무협조 분야에서 불협화음을 일으킬 공산도 없지 않다. 현 정부들어서는 김중권 전 청와대비서실장과 여당 정책위의장과 국회 예결위원장을 지낸 장영철 의원 등이 지역과 여권과의 연결고리 역할을 맡아왔으나 이들의 낙선과 불출마로 인한 창구 상실로 대구시와 경북도 등 행정기관들도 업무추진에 어려움을 겪을 전망이다.

또 싹쓸이를 한 야당내의 정치적 구심점 부재현상은 지역의 전체적인 정치력 약화를 초래, 정치적 불이익을 당할 것이라는 우려도 함께 낳고 있다. 지역 한나라당은 김윤환 의원의 공천 탈락과 탈당 이후 이번 총선의 싹쓸이에도 불구하고 중심을 잃은 상태다. 이와 관련, 경북지역 한 당선자는 15일 "당분간 허주(김 의원)의 공백을 완전히 메울 사람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한나라당은 영남당이고 그 중심은 TK"라는 일각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지역 한나라당 인사들을 한데 묶어 정치적 이익을 극대화 하기는 당분간 어려울 것으로 보여 이같은 공백해소가 향후 지역 정치권의 과제가 되고 있다.

李東寬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