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비만 기다리는 산불대책

입력 2000-04-13 15:25:00

지난 일주일 강원도 태백준령을 태운 산불은 13일 경북 울진 원전(原電) 3㎞까지 남진(南進)하며 계속 확산되고 있다. 동해.삼척시는 시전체가 불과 검은 연기로 뒤덮이면서 주민대피령이 내려졌다. 특히 이 지역 시멘트공장의 발파용 화약고나 해군 화약고를 비롯, 주유소 폭발을 우려하는 등 가히 전쟁터나 다름없을 공포에 주민들은 떨고 있다.

가장 걱정되는게 코앞까지 불이 닥친 울진 원전의 안전문제로 경북도, 울진군, 원전당국은 소방차.헬기 등을 준비하는 등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지만 불이 꺼지지 않는 한 맘을 놓을 수 없는 실정이다.

이번 강원도내 미증유의 산불을 보면서 우선 느끼는게 자연의 대 재앙앞엔 역시 인간은 무력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

우리는 60~70년대부터 민둥산에 나무를 심기만 했지 그 나무가 자라 울창하게 우거질때까지 산불이라는 대 재앙에 대한 대비는 전혀 생각조차 못해왔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산불이 나면 자연 복원에 30년, 생태계 복원까지는 1백년이나 걸린 다는 사실앞에 산불이 휩쓸고 가고난뒤 생태계파괴로 인한 '제2의 자연재앙'은 어떤건지 그 실체조차 모르고 있는게 현실이다. 산불 피해의 후유증은 이렇게 막대 한데도 정부당국은 사실상 손놓고 있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가장 급한게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구난체계를 수립하는 것이라 할수 있다. 이번 산불에서도 실화이든 방화이든 산불초동 단계부터 제대로 대처 못하는 바람에 그 피해는 엄청났다는게 증명 됐을 뿐이다. 그렇다면 우선 예방차원의 산불 잠시체계부터 근원적으로 다시 세워야 한다.

두번째는 산불진화에 대한 근원적인 대책 수립이다. 장비의 현대화가 필수적이고 그를 효율적으로 운용할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더욱 중요한건 이번 산불에서 여실히 드러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또는 자치단체간의 공조문제나 효율적인 소방 인력동원.관리체계가 엉망이었다는게 드러난 만큼 행정관서의 효율적이고 일관성있는 구난체계의 일원화가 절실하다는걸 강조하지 않을수 없다. 이같은 구난체계 수립은 선진국의 사례를 참고, 우리실정에 맞게 재구성하는 실질대책이 이번을 계기로 반드시 마련돼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런 인재(人災)에 가까운 '대재앙'에 대한 책임소재가 없다는점도 문제다. 특히 지방자치제 실시이후 더욱 효율적이어야 할 '사안'이 오히려 '역작용'을 일으킨다는건 모순이라도이만저만이 아니다. 정부는 이번사태에 대한 책임이 당장 급한건 피해주민들의 '살길' 마련이다. 뒷날을 경계해야 할것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