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6월 개최될 예정인 김대중(金大中) 대통령과 김정일(金正日) 북한 국방위원장간의 남북 정상회담에서는 한반도 평화의 틀을정착시키기 위해 서울과 평양에 각각 연락사무소를 두는 방안이 주요 의제로 논의될 전망이다.
정부의 한 고위 관계자는 12일 "큰 틀의 평화정착을 위해 구체적으로 남북간에 대화의 채널이 될 어떤 기구가 필요하다"면서 "이는 상호 연락사무소 형태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남북한 상호 연락사무소는 지난 92년 남북기본합의서 채택시 정원식(鄭元植) 총리와 연형묵(延亨默) 정무원 총리간에 합의된 바 있으나 실제로 설치되지는 않았다.이 관계자는 "이번 정상회담에서 상호 연락사무소 설치에 합의할 경우 주로 남북 경협을 위한 창구 및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채널이 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정부는 이와함께 남북한간 평화의 틀 구축을 위해 무력대치 상황을 평화체제로 전환시키고 전쟁 공포 해소 및 한반도 긴장완화를 위해 다단계적인 군축 방안들도 정상회담 의제에 포함시킬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정부는 오는 14일 국가안전보장회의에서 남북정상회담 정부기획단이 발족하면 남북 기본합의서를 토대로 한 구체적인 정상회담 의제 마련에 착수, 내주중 열릴 예정인 남북 실무준비 접촉에서 북한측과 이를 논의할 계획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