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11명 해명 다양

입력 2000-04-07 00:00:00

중앙 선관위가 6일 총선 후보들에 대한 전과 기록을 공개하자 당사자들은 전과 유형 등에 따라 각기 다른 반응을 보이면서 파문을 최소화하기 위해 해명에 나섰다. 전과기록이 공개된 후보에는 대구 6명, 경북 5명이 포함돼 있다.

◆대구

△현승일(남구, 한나라당)=6·3 사태 시위를 주동한 혐의로 집시법 위반으로 구속돼 징역8월, 집행유예 2년을 선고 받았다. 67년엔 민족주의 비교연구회 사건으로 2년이상 투옥됐다.

△박철언(수성갑, 자민련)=슬롯머신 사건은 YS 정권의 정치보복극일 뿐이다. 유죄판결의 유력한 근거라는 '공판기일전 증인 신문조서'에 대해서도 헌법재판소가 위헌결정을 내렸지 않았는가.

△엄삼탁(달성, 민주당)=슬롯머신 사건은 당시 안기부와 검찰, 경찰의 수뇌부의 전형적인 표적수사였다.

△강기룡(수성갑, 민주당)=지난 74년 유신헌법 반대운동을 하다가 긴급조치 1호 위반으로 구속됐으나 76년 사면복권 됐다. 80년 민주화운동 당시 계엄포고령 위반으로 수감됐지만 98년 무죄로 확정 판결을 받았다.

△남칠우(수성을, 무소속)=건국대 정치학과 재학중이던 81년 유인물을 제작, 교내시위를 주도한 혐의로 징역 10월을 선고 받았으며 85년 사면복권 됐다.

△이광수(중, 무소속)=97년 IMF 사태로 경영하던 무역회사가 환차손 등을 이기지 못해 부도를 냈으나 그후 부채를 상환, 사면복권을 받았다. IMF이후 많은 중소기업이 쓰리진 것은 당시 정부 여당의 경제정책 실패에 따른 산물이다.

◆경북

△허화평(포항북, 민국당)=12·12 사건으로 구속된 것은 김영삼 전 대통령에 의한 정치 재판이고 정치 보복일 뿐이다. 법률상으로도 이미 사면·복권됐다.

△김병구(포항 남·울릉, 민주당)= 82년 계엄법 위반은 12·12와 5·17 사태 등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전국 민주노동자 연맹 중앙위 의장으로 활동하며 구속, 처벌된 사안이다. 88년 노동쟁의 조정법 위반 역시 6월 민주화 항쟁 당시 민주헌법 쟁취 활동과 포철 노조 결성의 배후로 지목됐기 때문이다.

△이상두(경주, 자민련)=지난 82년 건설업체를 운영하던 중 자금난으로 부도를 냈으나 전두환 정권이 야당 탄압책의 일환으로 사건을 확대, 조작해 횡령으로 몰아갔다.

△오춘자(군위·의성, 무소속)=87년 서울에서 집을 매입하는 과정에서 집주인에게 사기를 당하고도 오히려 말려 들었다. 또 94년 집을 계약하는 과정에 사채업자가 개입, 장난을 쳐 진정서를 냈다가 무고죄로 몰려 처벌을 받았다.

△조원봉(청송·영덕·영양, 무소속)=공문서 위조건은 84년 서울대 학원 프락치 사건에 연루돼 수배된 뒤 1년반 동안 도피생활을 하던중 생계를 위해 친지의 주민등록증에 사진을 붙여 취직했던 것이다. 경찰이 주민증의 출처를 물었지만 친지의 안전을 위해 훔친 것이라고 진술, 절도죄가 적용됐다.

徐奉大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