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선택'-후보 전과공개 파괴력

입력 2000-04-07 00:00:00

중앙선관위가 6일 총선 후보자들의 전과기록을 1차로 공개함으로써 선거사상 처음 이뤄진 전과공개의 파괴력이 어느 정도 될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현재로선 납세·병역에 이어 후보검증의 마지막 자료인 전과공개가 해당후보의 당락을 좌우하는 '결정타'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 높지만 지역구 후보 335명에 대한 1차 전과기록 공개만을 갖고는 이를 섣불리 단정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이날 공개된 후보 중 44명이 금고이상의 전과기록을 갖고 있었지만, 격전지 후보들은 별로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전과기록을 갖고 있는 44명 가운데 강원도 2명, 충청권 2명, 호남권 1명 등 5명 정도가 전과기록 공개 후 판세변화의 흐름을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나머지는 전과기록 공개가 판세를 뒤집을 만큼 큰 변수로 작용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특히 호남의 민주당 후보 5명은 모두 민주화 투쟁 관련 전과로, 1곳 안팎의 경합지를 제외할 경우 선거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가능성이 높으며, 영남의 경우에도 전과보유 10명의 후보 중 1명만이 한나라당 후보로 판세변화에 영향을 미칠지는 미지수라는 지적이다.

그러나 7일 공개된 서울, 인천, 경기 등 여야의 1당싸움 변수가 될 수도권 경합지역의 경우 어떤 후보가 어떤 '죄'를 저질렀는지가 당락의 직접변수로 작용하는 등 '핵폭탄'의 위력을 지닐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더욱이 검찰에 따르면 수도권 후보들의 전과 보유 빈도가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것으로 알려져, 1천~2천표 안팎으로 선두를 다투는 경합지에서는 뇌물, 사기 등 '질이 안좋은' 전과내용은 승패를 가르는 요인으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

특히 전과기록 공개 후 선거때까지 불과 1주일도 남지 않았기 때문에, 전과기록 공개이후 신속히,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할 경우 만회가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높다.

하지만 과거 군사독재시절 민주화 운동이나 시국사건 관련범죄 전과는 일반 비리잡범들과는 판이한 효과를 몰고올 가능성이 없지 않다. 일부 후보들이 오히려 시국사범 전과를 '훈장'으로 홍보하는 것도 이같은 맥락에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