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경제운용계획과 관련, 내부적으로 설정해두고 있는 연평균환율 수준은 1천90원 안팎으로 추정됐다.
이같은 수치는 정부가 성장률, 물가 등과 함께 1인당 국민소득 목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어 추정이 가능하며 따라서 외국인 증시자금 등의 유입을 부추기는 영향도 있을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5일 금융계에 따르면 정부가 최근 발표한 올 1인당 국민소득(GDP 기준) 목표 1만200달러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연 평균 환율이 작년의 1천189원 대비 9.3~8.3% 절상된 1천88~1천98원 이하가 돼야 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이같은 추산에는 역시 정부가 제시하는 경제성장률 6~7%, 물가상승률 2.5%, 인구증가율 0.89% 등이 적용됐다.
금융계의 한 전문가는 정부는 환율 정책과 관련해 급격한 변동은 막는다는 스무딩 오퍼레이션 원칙을 갖고 있어 연평균 환율이 1천90원 안팎이라면 연말로 갈수록 이보다 훨씬 낮은 수준으로 떨어진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올들어 월별 평균 환율은 1월 1천131원, 2월 1천128원, 3월 1천117원 등으로 움직여 왔으며 1분기 평균은 1천124원이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