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지 않고 버린 음식물이 99년 기준 하루에 10t트럭 1천100대분. 연간 경제손실 8조원. 가정·식당 등에서 무심코 버리는 음식물 양이 '아깝다'는 수준을 넘고 있다.
환경부가 버려지는 음식물을 쓰레기로 간주, 별도로 통계를 놓은 것은 94년. 그 이전까지는 일반쓰레기로 취급해 왔다.
94년 하루에 1만8천여t이 나온 음식물쓰레기가 매년 계속 감소를 보여 올해엔 1만t대로 떨어질 전망이다.
이처럼 음식물쓰레기가 줄어든 것은 96년의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종합대책'과 97년부터 시작된 쓰레기 분리수거 및 종량제 덕택이다. 여기에 전 국민의 의식변화도 큰 몫을 차지했다는 게 환경부의 분석.
환경부가 98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기본계획'은 2002년까지 발생량의 10%를 줄이고 발생량의 50%를 사료·퇴비 등으로 자원화한다는 것이다. 여기에 보건복지부의 '좋은 식단 운동', 농립수산부의 '생산·유통과정 쓰레기 줄이기'등이 성공적으로 추진된다면 음식물쓰레기의 효율적인 관리·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버려지는 연간 8조원을 아끼는 것은 정부가 아닌 국민의 몫이다.
李炯雨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