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무슨 날벼락인가"3일 오후1시30분 경주시 외동읍 구호리에는 20여 축산농들의 한숨과 절망이 마을전체를 무겁게 짓누르고 있었다 .
파주에 이어 홍성지역 구제역 발생 소식이 전해지자 150두 한우를 사육중인 이 마을 남호경(51·전국 한우협회 경북도지회장)씨는 사료를 주다말고 그만 주저 앉고 말았다.
마을 입구에 모여 앉은 다른 축산농들의 얼굴에도 불안한 기색이 역력했다.
잦은 소값 파동에도 축산농의 꿈을 잃지 않았던 이 마을 사람들은 파주사태 이후 전국적으로 일시에 전염병 박멸에 나서지 않은 정부의 늑장 대처에 대해 분통을 터뜨렸다. 구제역 발병위험이 고조되고 있는데도 소독약 살포, 예방접종 등 후속대책이 가시화되지 않는 것도 이곳 농민들을 더욱 불안하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한우 130두를 사육하는 이 마을 우만곤(54)씨는 "시.군당국이 비상방역대책에 나선다는데 이곳에는 왜 소독약인 생석회 지원이 없느냐 "며 당국의 신속한 대처를 아쉬워했다.
20년간 한우 사육을 해온 김현제(경주시 외동 활성리)씨는 "정확한 원인규명이 판명되어도 6개월 방역을 철저히 해야할 판국이니 이제 축산농은 알거지가 될 형편"이라며 긴 한숨을 몰아냈다.
구제역은 축산농가뿐 아니라 우시장도 강타했다. 소떼가 우글거리던 경주 외동우시장 등 각 우시장에는 3일 구제역 소독약이 담긴 분무기 소리만 요란했다. 경주지역 우시장중 두번 째 규모인 외동 우시장은 3일 110두의 소가 출시됐으나 두당 소값이 10만~20만원 가량 폭락한데다 매매도 한산해 이날 오전 10시 폐쇄됐다.
절망의 한숨을 내쉬기는 양돈농가들도 마찬가지 였다.
고령읍 장기리에서 양돈을 하는 방길(63)씨는 "이제 구제역으로 망하는 것 아니냐"며 절망감에 빠져 고령군에서 지급한 방역 대비책에 대한 유인물을 읽고 있었다. 돼지수출 농가들의 모임인 고령축협양돈축산계 회장 김종구(53)씨는 "지난 98년 IMF로 위기에 빠졌으나 지난 해 부터 돼지가격이 회복돼 허리를 좀 펴는가 했더니 이번에 구제역 파동이냐"며 울상을 지었다.
축협고령 공판장장인 구자룡씨는 "구제역 파동의 가장 큰 문제는 이 파동으로 입식농가가 입식을 포기하게 되면 국내 축산기반이 완전히 무너진다는 점"이라며 "정부가 농가의 불안심리를 빨리 해소해 줘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사회2부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