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선택' D-9- 매일신문.TBC 공동 여론조사

입력 2000-04-04 00:00:00

대구.경북지역 유권자들은 16대 총선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고질적인 지역주의(31.8%)를 꼽았으며 '소속 정당보다는 인물 됨됨이를 보고 투표하겠다'(73.4%)는 반응이 압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총선 최대 쟁점으로 떠오른 후보자의 병역 및 납세실적과 전과기록 공개에 대해서는 '후보 선택에 좋은 준거가 된다'(70.2%)는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이같은 사실은 본사가 TBC와 공동으로 여론조사기관인 에이스리서치에 의뢰, 지난 1일 대구.경북지역 만 20세 이상 남녀 6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16대 총선 공명성과 부동층 성향에 대한 대구.경북 시도민 여론조사' 결과 나타났다.

특히 조사결과 선거일을 10여일 앞둔 1일 현재 응답자의 53.5%가 '아직 후보를 결정하지 않았다'고 밝히는 등 선거 중반까지 유권자들의 외면과 무관심이 여전한 것으로 드러나 부동층을 잡기 위한 후보들의 불.탈법 선거운동이 극심해질 것을 예고하고 있다.

아직 지지 후보를 결정하지 않은 부동층중 45.7%는 '투표 1, 2일전 내지 투표당일 후보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지지 후보 결정과 관계없이 응답자의 80.0%가 '투표할 것' 이라고 밝혀 대구와 경북의 예상 투표율은 각각 64%와 72%로 전망되고 있다.

이번 총선의 공명성을 15대 총선과 비교한 설문에서는 '별다른 차이가 없다'는 응답이 가장 많이 나타난 가운데 응답자의 86% 이상은 '금품제공과 관련없이 소신대로 투표하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지지 여부와 무관하게 금품이나 향응을 받겠다'는 응답자가 22.3%로 지난 1월 중순 조사당시 3.0%에 비해 크게 높아져 투표일에 다가갈수록 불법선거운동이 기승을 부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단체의 공명선거운동 성과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48.6%가 '성과가 있다'고 대답,긍정적인 평가를 내렸으며 16대 총선 문제점으로는 지역주의에 이어 흑색선전, 잘못된 후보 공천, 금권선거 등을 지적했다.

또 공명선거 정착을 위해 가장 필요한 일로는 국민의식변화, 정치권의 반성과 자정노력, 엄격한 법집행, 선관위 권한강화, 언론의 공정보도, 선거법개정 순으로 꼽았다.

徐泳瓘기자

최신 기사